특고 산재보험 적용제외 관련 개정 쉽지 않아"돈보다 특고의 근로자성 인정을 두려워해"
사업주의 '사용자' 책임 커지는 거에 더 반발?
특고 산재보험 적용제외 제한ㆍ폐지 개정안 발의
택배기사들 사이에서 산재보험 적용제외 조항이 '강제 포기 신청'으로 악용돼 온 실태가 드러나면서, 정치권에서 관련 법 개정 추진에 나섰다. 특수고용직(특고) 종사자도 일반 근로자처럼 산재보험을 당연 적용하거나 적용제외 사유를 제한하는 내용이 골자다. 하지만 사업주들이 보험료 부담, 나아가 특고의 '근로자성' 인정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있어 법 개정 여부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9일 특고의 산재보험 적용제외 조항을 전면 폐지하는 내용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택배기사, 보험설계사, 학습지교사 등 특고도 예외 없이 산재보험에 가입하도록 하고 사업주가 입직 신고를 하지 않으면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도록 했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특고 종사자의 적용제외 조항을 삭제하고, 일정 기간 휴업 등 대통령령이 정한 경우에만 적용제외를 허용하는 산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그러나 개정안 통과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사업주들이 비용 부담을 이유로 특고의 산재보험 가입 확대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특고의 산재보험료율은 직종마다 다르게 책정되는데, 택배기사를 예로 들면 사업주 부담은 기준보수에 산재보험료율(1.93%)을 곱한 월 4만2,460원의 절반으로 월 2만1,230원이다. 산재 위험도가 보다 낮은 보험설계사의 경우 사업주의 산재보험료 부담은 월 9,574원(보험료율 0.73%)이다.
경영계는 사실 이런 '돈' 문제보다는 산재보험 적용이 곧 특고의 근로자성을 인정하는 징표가 되는 것을 더 우려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중론이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경총이나 전경련 측에서는 산재보험 당연적용이 고용보험 의무가입, 전속성 강화로 이어질 개연성을 경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웅래 의원도 "특고가 산재보험에 들어오면 비용 부담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정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된다"며 "사업주가 이를 회피하기 위해 산재보험 가입을 꺼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고는 그동안 '사장님'도 '종업원'도 아닌 제3의 지위로 간주돼 왔고 이에 따라 사업주도 '사용자'의 책임이 비교적 적었다. 하지만 특고가 사회보험의 테두리 안으로 들어오는 순간, 해당 근로자의 사용자로서 책임은 그만큼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정부는 앞서 올해 안에 특고의 산재보험 적용제외 사유를 육아, 질병 등 특정 사유로 제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지난 6일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에만 산재보험에 가입하면 위험성이 높은 분들만 들어와 기금 운용상 문제가 있고, 본인의 의사와 반해 적용제외 되는 부분도 꽤 있었다"고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현재 특고 9개 직종(올해부터 산재 가입을 허용한 5개 직종 제외)의 산재보험 가입률은 15.83%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