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5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 개최?
코로나19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상황 대비
2022년까지 소부장 등 차세대 분야 7조원 투자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 자립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핵심 품목 85개를 추가하고, 2022년까지 소부장을 비롯한 차세대 분야에 7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14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소부장 R&D 고도화 방안'을 포함한 안건 4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날 내놓은 소부장 R&D 고도화 방안은 소부장 R&D 투자 전략을 다각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7월 발표한 '소부장 1.0 전략'이 일본 수출규제 대비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번 대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글로벌 공급망(GVC)이 재편되는 상황에 대비해 미래 공급망을 선점하기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번 방안에서 정부는 공급망 안정을 위해 R&D가 필요한 핵심품목을 기존 대(對) 일본 100개 품목에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85개 품목을 추가했다. 정부는 이들 품목별로 단기간 내 상용화에 집중하거나(43개),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하는(42개) 등 맞춤형 R&D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미래 공급망을 창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전고체 전지와 같은 미래 선도품목도 발굴하기로 했다. 이런 R&D 투자 전략 다각화를 통해 2022년까지 소부장을 포함한 차세대 분야에 7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모델 5건도 승인했다. 대상 품목은 기계 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점접착용 화학소재 등이다. 주력 산업에 필수적이지만 현재 전량 또는 대부분을 특정 국가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들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5개 협력모델을 통해 2025년까지 약 1,000명의 신규 고용과 약 1,350억원의 신규 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소부장 R&D 진행 상황과 성과도 지속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