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혁명시대 이끌 차세대 반도체 기술
글로벌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인력 3000명 육성
정부에서 2030년까지 구상한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선도국가 도약 청사진이 나왔다.
정부는 12일 경기 성남 소재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국무총리 주재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AI 반도체는 학습ㆍ추론 등 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높은 성능 전력효율로 실행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AIㆍ빅데이터 생태계의 핵심기반이자 시스템 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AI 반도체 시장은 아직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로, 지금부터의 국가적 대응 노력이 글로벌 주도권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은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총 1,179억달러(약 135조3,8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 역량 등 우리의 강점을 기반으로 AI 반도체를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000명 양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세계 최고 수준의 AI 반도체 독자 개발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설계ㆍ소자ㆍ공정 기술혁신을 추진한다. 이를 국가 AIㆍ데이터댐 인프라에 시범 도입해 초기시장 수요창출을 견인한다.
인재 양성도 서두른다. 올해부터 기업과 정부가 1:1로 투자하는 AI 반도체 아카데미 사업을 신설하고, 석박사급 설계인력을 집중양성하는 선도대학을 육성한다.
기업 간 기술 협력을 지원해 AI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반도체 역량이 집중된 중부권(평택-용인 등)에 AI 반도체 공정혁신 밸리 구축 추진하고, 반도체 설계 업체와 생산 업체 사이 공동 연구개발(R&D) 지원도 나선다.
혁신 기업에 대한 자금 및 정책적 지원도 더해진다. 정부는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 대상에 차세대 반도체를 포함하고 투자설명회를 통해 AI 반도체 산업 자금지원을 추진한다. 또 반도체 펀드를 활용해 AI 반도체 기업의 R&D 및 인수합병(M&A)에 700억원을 투자한다. 또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AI 반도체 혁신설계센터'도 신규 구축한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반도체는 우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간과 정부가 협력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력 분야"라며 "정부의 선제적 투자로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여 세계 AI 반도체 선도국가가 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