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화천군 양돈 농가에서 출하한 돼지 3마리가 9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확진됐다. ASF는 치사율이 100%에 달하고 아직 치료제나 백신도 없다. 지난해 9월 16일 국내 처음으로 발생하고 23일 뒤인 10월 9일 마지막 발병된 후 가라앉은 지 1년 만에 다시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바이러스 매개체인 야생멧돼지에서는 ASF가 740건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해 양돈으로 전파 위험성은 늘 존재했다.
정부는 지난 1년간 휴전선 접경 17개 읍ㆍ면에서 야생 멧돼지 포획을 허용해 지금까지 2만8,397마리를 사냥했다. 또 경기 파주시에서 강원 고성군까지 619㎞에 달하는 철제 ‘광역울타리’를 설치해 휴전선을 넘어온 멧돼지가 접경지역 양돈 농가에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 이번 경우도 광역울타리 안에 위치한 점으로 미뤄 당국은 야생 멧돼지를 통한 감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겹겹이 구축한 방역망이 1년 만에 다시 뚫린 것이다. 멧돼지가 직접 농가에 접근하지 못했더라도 감염된 멧돼지의 폐사체를 먹는 새들이 바이러스를 농가로 옮겼을 가능성도 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오전 5시부터 11일 오전 5시까지 경기·강원의 돼지농장과 도축장 사료공장 출입차량 등 축산 시설 등에 대해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또 해당 농장의 돼지 전부와 인근 10㎞ 내 양돈 농장 2곳의 사육 돼지 1,525마리 등 2,465마리를 살처분할 방침이다.
지난해 발생 때에는 초기 감염경로 파악에 실패하며 인근 지역 확산을 막지 못했지만, 철저한 사후 조치로 대체로 성공적인 방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약 43만마리가 살처분되고 발생 초기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하는 등 피해가 적지 않았다. 특히 당시 살처분 조치를 받은 경기ㆍ강원 양돈 농가에 대한 돼지 재입식이 이달 들어서 시작됐는데, 이마저 중단돼 피해 농가의 시름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방역 당국은 지난해 교훈을 바탕으로 타지역 확산을 조기에 막아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동시에 양돈 농가도 당국의 조치에 적극 협조하고 외지인들도 발생 지역 방문을 최대한 자제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