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특수학교 방문교육 대상 확대했으나
182개교 중 1학기 방문교육 15%만 이뤄져
교사들 "방문수업은 물론 원격수업도 힘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전국 9만2,958명에 달하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가 심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특수교육 교사들은 "비현실적인 교육부의 지침이 장애 학생들의 학습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방문수업 확대했으나 부실 운영
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표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1학기 온라인 수업 기간 중 장애 학생의 가정을 개별 방문해 수업을 실시한 특수학교는 전국 182개교 중 15%인 28개교에 그쳤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에서 특수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36개교 중 방문 수업을 진행한 곳이 하나도 없었고, 서울은 특수학교 32개교 중 단 1곳만 방문 수업을 했다. 광주와 제주는 관내 특수학교 5곳, 3곳에서 모두 방문 수업이 이뤄졌다.
이러한 방문 수업은 교육부가 지난 4월 1일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필요한 경우 교사가 학생의 집을 찾아가는 순회(방문) 교육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기존 방문 수업은 장애가 심해 등교할 수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청이나 특수학교 교사들이 가정에 방문해 이뤄졌으나,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모든 특수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됐다. 장애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방문교육이 전면 시행됐으나, 결과적으로 교육 현장에선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결과를 보인 셈이다.
장애학생 대상 방문 수업 "비현실적" 토로
하지만 교사들은 모든 특수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방문 수업은 실효성이 떨어지고 불가능에 가깝다고 토로한다. 박은경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특수교육위원장은 “장애학생은 고위험군이 많아 방문 수업을 거부하는 가정이 많고 중증 장애 학생의 방문 수업을 위해서는 최소한 치료사와 2인 1조는 돼야 한다”며 “교사 혼자 원격ㆍ등교ㆍ방문 수업을 다 추진하라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애초 방문수업 확대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격 교육은 불가능하다는 인식 때문에 학습공백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나왔다. 학습 수준이 달라 개별적인 맞춤형 교육이 핵심인 특수교육에서 원격수업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현재 특수학교의 원격수업은 초반의 우려대로 반쪽짜리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 대신 콘텐츠 업로드 형태가 대부분이다. 대구 성보학교의 김익현 교사는 “한 반 학생이 7, 8명이지만 한쪽은 함수를 배우고 있다면 한쪽은 나누기를 할 정도로 수준이 천차만별”이라며 “교사들이 원격수업 10분짜리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수준별로 2,3개는 만들어야 하는데다 EBS 교재와 같은 참고자료가 없어 힘들다”고 했다.
그는 “학생의 장애수준이 심각하지 않아도 장애인 시설에 있거나 관리해 줄 보호자가 없으면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너무나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취약 가정의 장애 학생은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지조차 관리가 어렵다”고 말했다.
방문수업과 원격수업이 모두 어려운 딜레마에 처한 상황에서 교사들은 교육부가 현장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여야 한다고 호소한다. 박 위원장은 “특수교육과 학생들이 자원봉사 형태로 원격교육을 지원한 적이 있는데 효과적이었다”며 “이런 방식의 학교에 원격교육 지원 인력을 배치하고, 교사 증원 등으로 등교 교육이 가능한 학교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