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전화 회담을 했다. 스가 취임 이후 주변국 정상과는 처음인 이날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한일은 기본적인 가치와 전략적인 이익을 공유하는 가까운 친구"라며 "강제 징용 등 양국 현안 해결을 위한 소통 노력을 새 마음가짐으로 가속하자"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스가 총리 역시 현안 해결을 위한 대화를 독려하기로 했다고 한다. 한일 정상 대화는 지난해 12월 중국 청두 한중일 정상회의 때 양자 회담 이후 9개월 만이다.
청와대 발표만 들으면 양국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생길 만도 하다. 하지만 스가 총리가 회담 후 일본 언론에 "우리의 일관된 입장에 토대를 두고 앞으로도 한국에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해 가겠다"고 말한 것을 보면 당장 변화를 바라기는 섣부른 일이다. 스가가 '아베 정권 계승'을 표방할 때부터 예상된 일이긴 하지만 한일 관계가 이대로 공전한다면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관계 개선이 절망적이라고만 볼 것은 아니다. 문 대통령이 거듭 대화를 촉구하고 있고, 스가 총리 역시 "양국 관계를 방치하면 안 된다" "한일 양국은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이웃이며 협력이 중요하다"며 관계 복원의 필요성을 말했기 때문이다. 현안으로 징용 문제를 언급하면서도 이를 한국이 해결하라는 직접 표현을 피한 것은 원칙을 굽히지 않으면서 신중하게 접근하려는 태도로 해석할 수도 있다.
징용 배상은 그 자체로 어려운 문제이지만 수출 규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등 여러 사안과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일제강점기 피해 회복'이라는 명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해를 조정해 서로 잃는 것보다 얻는 것이 많은 해법을 찾아야 한다. 스가 총리가 관심 보이는 '일본인 납치 문제'에 적극 호응해 대화의 실마리를 풀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 쉽지 않겠지만 코로나로 꽉 막힌 한일 하늘길, 바닷길도 10월부터 일부 열린다고 하니 외교 당국 간의 활발한 소통으로 관계 회복의 기회를 만들어내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