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누가 장애 아이 엄마들 무릎을 꿇게 했나

알림

누가 장애 아이 엄마들 무릎을 꿇게 했나

입력
2020.09.23 14:49
수정
2020.09.23 16:08
21면
0 0
2017년 서울 강서구 탐산초에서 열린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주민 토론회에서 장애인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고 주민 찬성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2017년 서울 강서구 탐산초에서 열린 강서지역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주민 토론회에서 장애인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고 주민 찬성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욕해도 좋습니다. 때리면 맞겠습니다. 하지만 학교는 절대 포기 못합니다.”

반대하는 주민들의 고함과 욕설이 쏟아지는 가운데 엄마들이 눈물 흘리며 무릎 꿇었다. 아이를 위해 특수학교만은 짓게 해달라는 호소였다. 2017년 서울 강서구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주민 토론회의 한 장면이었다.

27일까지 서울 혜화동 동양예술극장에 오르는 극단 신세계의 ‘생활풍경’은 바로 이 ‘무릎 호소’ 사건을 다룬다.

이유는 능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한국 사회의 살풍경, 그 자체여서다. 김수정 연출은 “토론회에서 오간 말들에서 드러난 무의식적인 차별과 혐오, 약자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얘기해 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무대가 곧 토론장이다. 관객은 입장 때 질문을 받는다. 장애인 특수학교를 지지하는지, 대신 국립한방병원을 지어야 하는지. 선택에 따라 앉는 자리가 나뉜다. 객석은 방청석, 관객은 토론회 참석 주민이 된다. 객석 중간중간에 섞여 앉은 배우들 또한 주민 역할을 맡는다.


연극 '생활풍경' 공연 장면.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 문제를 두고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무대화했다. 극단 신세계 제공

연극 '생활풍경' 공연 장면. 장애인 특수학교 설립 문제를 두고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무대화했다. 극단 신세계 제공


학교 부지에 한방병원을 짓겠다는 선심성 공약으로 주민 갈등을 촉발한 국회의원은 토론회 초반 슬그머니 퇴장한다. 극단 신세계 제공

학교 부지에 한방병원을 짓겠다는 선심성 공약으로 주민 갈등을 촉발한 국회의원은 토론회 초반 슬그머니 퇴장한다. 극단 신세계 제공


그래서 이 작품은 극사실주의다. “장애인도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는,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한방병원이어야 한다”는 양측 주장이 팽팽히 맞선다. 특수학교가 집값을 떨어뜨리는 건 아니라는 설득에, 장애인 시설은 이미 많다는 반론이 제기된다. 방청석도 달아오른다. 상대편을 향한 삿대질과 야유와 막말이 쏟아진다. 무대 난입에 몸싸움까지, 아수라장이 된다.

이 난장판에서, 몰래 사라진 인물이 하나 있다. 원래 교육청 소유의 학교 부지였던 곳에다 한방병원을 짓겠다고 공약한, 지역구 국회의원이다. 난감해진 교육감은 그저 공사를 아직 시작한 건 아니라는 말만 반복한다. 이런 모순 해결에 팔 걷는 지도자는 없다.

모순은 주민에게도 있다. ‘특수학교는 괜찮지만 우리 동네는 안 괜찮다’ ‘장애인과 공존해야 하지만 우리 동네는 아니다’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 참는다’ 같은 앞뒤가 다른 이중적 언행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나는 도덕적으로 옳게 행동하고 있다’는 개개인의 굳건한 믿음에 균열을 만든다.


연극 '생활풍경' 컨셉트 이미지. 극단 신세계 제공

연극 '생활풍경' 컨셉트 이미지. 극단 신세계 제공


연극은 그래서 관객을 불편하게 만든다. 극을 시작할 때는 토론자가 객석을 등지고 앉아 있지만 이내 토론 테이블을 돌려 객석과 마주본다. 관객은 제3자에서 당사자가 된다. 막바지엔 찬반 양측 토론자가 자리를 맞바꾼다. 관객은 일순간 찬반 입장을 뒤집어야 한다. 김 연출은 “내가 어디에 서서 무엇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입장이 달라진다는 것, 그게 차별과 혐오를 만든다는 걸 경험하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실제 사건에 기반을 둔 만큼 언론 보도, 실제 토론회 영상, 인터뷰, 관련 사례와 논문 등을 참고해 극단 단원 모두가 함께 대본을 썼다. 단원들끼리 격렬한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극이 탄탄하고 몰입도가 높은 이유다.

그래서 장애인 특수학교는 세워졌을까. 연극은 그것까진 보여주지 않는다. 김 연출은 “극장 문을 나서는 관객들이 직접 그 결과를 검색해서 찾아보게 하고 싶었다”며 “그래야 단지 연극으로만 끝나지 않을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우리 모두, 아직은 좀 더 불편해져야 한다.

김표향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