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빈서 공동위원회 회의
"美, 초강대국이지만 그저 하나의 나라"
미국을 제외한 이란 핵합의(JCPOAㆍ포괄적공동행동계획) 당사국들이 2015년 체결한 합의 내용을 지키는 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AP통신은 1일(현지시간) 이날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JCPOA 공동위원회 회의에 모인 중국ㆍ러시아ㆍ프랑스ㆍ독일ㆍ영국ㆍ이란 대표들이 이같은 한목소리를 냈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는 미국이 대(對)이란 제재 복원을 주장한 이후 처음 열린 자리다.
회의를 주재한 헬가 슈미트 유럽연합(EU) 대외관계청(EEAS) 사무총장은 논의를 마친 뒤 트위터를 통해 "참가국들은 이란 핵합의를 유지하고 현재의 도전에도 합의의 완전한 이행을 보장할 방법을 찾기 위해 단결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 국장급인 푸총(傅聰) 구축사 사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참가국들은 미국이 더이상 스냅백(대이란 제재 복원)을 행사할 법적 근거나 지위를 갖고 있지 않다는 데 모두 동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초강대국이지만 그저 하나의 나라"라며 "다른 나라들은 계속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빈의 국제기구 주재 러시아 대사인 미하일 울리야노프는 트위터에서 미국을 겨냥해 "스스로 협정의 당사국이라 주장하는 나라가 아닌 핵합의의 실제 참가국들이 이날 회의에 모두 모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참가자들은 핵합의에 완전히 전념하고 있으며 이를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임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이란 대표인 압바스 아라치 외무차관은 회의 이후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앞서 "미국의 움직임이 회의의 중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은 2015년 미국ㆍ영국ㆍ프랑스 등 6개국과 핵 개발을 포기하는 대신 이란 경제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의 핵합의를 맺었다. 하지만 2018년 5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자 이란은 핵합의 이행 범위를 축소하는 단계적 조처를 취해 왔다. 이후 미국은 지난달 핵합의에서 규정한 스냅백 절차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공식 요구했고, 안보리는 미국이 이란 무기금수 연장안 부결 이후 요청한 스냅백 가동을 지난주 거부했다. 중국ㆍ러시아는 물론 유럽 국가들도 미국이 이란 핵합의를 일방 탈퇴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 관여할 자격이 없다는 입장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