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조사 인력 등 한계 봉착"
감염경로 불명 환자 증가세에
전문가 "거리두기에 무게 실릴 듯"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신규 확진자 수가 20일 가까이 세자릿수를 보이면서 역학조사를 하는 방역당국이 허덕이고 있다. 빠른 검사와 빠른 추적으로 성과를 거둔 ‘K방역’의 장점을 살리기 어려운 환경으로 상황이 빠르게 변해간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수가 200~400명 수준인 8월 중순 이후 현재까지 하루 진단검사 건수는 6,000~2만3,000여건이다. 이런 진단 검사 건수는 재유행 이전으로 하루 확진자가 수십명에 그쳤던 8월 초 3,000~8,000여건보다 두세 배 많은 수준이다. 반면 확진자 수는 8월 초와 비교해 최근 8~10배나 늘어났기 때문에 진단검사 건수가 충분치 못하고, 결국 수많은 숨은 환자를 놓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권준욱 중대본 부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하루 7만건까지 검사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고 검사 시약도 충분히 비축된 상태”라며 검사 역량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진단검사 건수는) 역학조사와 추적, 접촉자 관리, 자발적인 검사 희망자 수 등과 연계되어 있다”고 언급, 감염 의심자를 찾아서 선별진료소까지 데려다 놓는 검사 의뢰 건수가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은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했다.
감염 의심자 발굴을 위해서는 빠른 역학조사가 필요하지만 최근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집단 감염이 여러 건 생겨 역학조사에 과부하가 걸렸다. 이에 정은경 중대본 본부장이 지난달 30일 “역학조사 지원팀을 강화하고 인력을 더 투입해 대응하고 있지만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고까지 했다.
그 결과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이 국내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인 24.3%(1,076명ㆍ최근 2주 기준)에 이른다. 이런 환자 중 일부는 나중에 감염 경로가 밝혀질 수 있지만 규명이 늦어질수록 그 사이 추가 전파가 걷잡을 수 없이 벌어질 수 있다.
역학조사 역량을 단기간에 늘리는 것도 어렵지만,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짐에 따라 빠른 검사와 빠른 추적에 의한 발본색원 전략에 의존하는 건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학조사 역량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고 기존 역학조사 인력도 지쳐가고 있어 갈수록 신속한 역학조사보다는 거리두기 강화를 통한 전파 차단에 좀 더 무게가 실릴 것”이라며 “이 경우 지금까지 K방역의 모습과는 상당히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