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까지 회사채? 3조2100억원 발행… 작년의 90% 넘어
사용 목적도 투자 아닌 부채상환·운영자금에 집중
국제유가·정제마진·수요회복 등 모두 비관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정유업계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상반기에만 5조원 이상의 기록적인 손실을 가져온 정유업계는 내심 국제 유가 상승과 수요 회복에 따른 정제 마진 상승 등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을 기대했다. 하지만 현재 상황만 놓고 보면 실적 회복은 고사하고 오히려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유동성 문제에 직면한 정유업계 내에선 회사채 발행으로 세금 납부 등 운영 자금을 메워야 할 판이란 소리까지 나온다.
31일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국내 정유 4사인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는 올해 8월말까지 총 3조2,100억원의 회사채(외화표시 채권포함)를 발행했다. 회사별로는 에쓰오일이 1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오일뱅크(8,000억원), GS칼텍스(7,600억원), SK에너지(5,500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이들 업체에서 발행한 회사채 규모가 3조5,500억원이었으니, 올해 8월까지 발행한 회사채가 이미 지난해의 90%를 넘어선 셈이다. 2018년(1조6,500억원)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었다.
문제는 회사채로 마련한 자금의 용도다. 이들 업체가 올해 회사채로 끌어들인 유동성의 사용 목적은 부채상환(72%)과 운영자금(28%)에 집중돼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정유사들이 탈황설비나 석유화학 공장 증설 등 미래를 위한 투자금 마련을 위해 회사채를 발행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올해는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이 어렵다 보니 유동성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회사채를 발행하고 있다”며 “과거에 조달한 투자금 상환은 물론이고 유류세 등 고정 지출 자금을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것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달라진 환경을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정유업계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더 늘어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처럼 정유사들은 빚을 내 살림을 꾸려가는 처지이지만, 기대했던 하반기 실적 반등은 기대하긴 힘든 형국이다. 우선 국내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석유제품의 수요 개선의 조짐은 찾아보기 어려운 형편이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당장 여름 휴가철에 돌입한 7월 석유 제품 소비량은 전년대비 7.4% 감소했다. 특히 항공유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36.9%나 급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추석 연휴 귀성객이나 가을 단풍 놀이 여행객도 이미 물 건너간 상태다. 당분간 정유업계에 특수를 점치긴 어렵게 됐단 얘기다.
정제마진 흐름도 비관적이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8월 넷째 주 배럴당 0.3달러를 기록했다. 7월 셋째 주부터 4주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오다 3주 연속 플러스 정제마진을 기록하고는 있지만, 정유업계의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진 4달러 선에는 못 미치는 수치다.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0월 4.1달러/배럴을 기록한 이후 한 번도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고 있으니, 정유사로선 10개월 연속 손해만 보면서 장사를 하고 있는 셈이다.
국제유가의 상승세 둔화 또한 악재다. 정유사들은 싼 값에 사들인 원유 재고의 평가가 상승하면서 2분기 실적 회복이 가능했다. 한국석유공사에 의하면 국내 수입비중이 가장 높은 두바이유의 경우 4월22일 배럴당 13.52달러로 최저가를 찍은 뒤 5, 6월에 가파르게 상승해 40달러 선을 회복했지만, 7, 8월엔 40달러 초반에 머무르며 보합세가 길어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유사들이 당초 하반기에 기대했던 국제유가 상승, 정제마진 회복,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 증가 등이 하나도 실현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현 상태가 당분간 지속된다면 하반기 실적은 물론, 정유사 중 한 곳이 망한다는 소리가 나와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