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400명에 이르는 등 2차 대유행이 현실화했는데도 의료계가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파업(집단 휴진) 강행 의사를 접지 않고 있다. 전공의들이 21일부터 단계적 파업을 진행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6~28일에는 개원의들의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주요 대형 병원들은 진료ㆍ입원 예약을 줄이고 파업 미참여 전문의 중심으로 진료 일정을 조정하며 진료 차질에 대비하고 있지만 이미 서울 시내 주요 대학 병원 일부 진료과에서는 당분간 응급실로 오는 중환자는 받을 수 없다고 공지한 상태고, 주로 전공의가 배치됐던 선별진료소의 운영을 중단한 병원도 나왔다.
다행히 이날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정세균 국무총리와 긴급히 만나 24일부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진료에 적극참여하기로 결정하면서 ‘의료대란’의 현실화는 일단 피하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의협은 개원의들의 총파업 계획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
의료계라 해서 집단적 의사표시를 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그러나 이번 집단행동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결코 곱지 않다. 여론도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찬성이 우세하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22일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에 대해 수도권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이후 의료계와 논의한 뒤 추진해 나가겠다”고 한발 물러섰는데도 ‘정책 철회’를 고집하며 파업 의사를 접지 않는 의협 집행부의 태도는 이해할 수 없다.
의협이 23일 국무총리실과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에 갈등 중재를 요청하는 등 사태를 파국으로 끌고 가진 않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의사 인력의 지역별 불균형, 특정 진료과 집중 등은 정부와 의료계 모두 공감하는 문제점이다. 대화와 협상으로 방법론적 의견 차이는 충분히 좁힐 수 있다. 의정 간 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의료 비상시국에 의료계의 파업은 명분이 없다. 의료계는 즉각 진료 현장에 복귀하고 정부는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논의를 시작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