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잉~”
전원 스위치를 올리는 순간 전기톱의 예리한 톱날이 두껍고 긴 원목 자재 위를 미끄러졌다. 분수처럼 날리는 톱날과 함께 포근한 나무 냄새가 퍼지며 코를 자극한다. 작업실 한쪽에선 매끈하게 빠진 서랍장이 오일스테인을 만나 갈색 톤의 중후한 작품으로 변신하고 있다.
오랜 장마가 끝나고 뜨거운 뙤약볕이 내리쬐던 지난 17일 경기 파주시 신촌동 목공자재창고 앞. 1t 트럭 한 대와 소형 승용차를 몰고 도착한 목공인들은 원자재를 비롯해 완성된 가구, 목공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마당에 부렸다.
먼저, 목재를 자르는 고정 전기톱 '테이블쏘'와 목재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할 때 필요한 '라우터', 도장 작업을 위해 공기를 압축하는 '에어컴프레서' 등 무게가 제법 나가는 장비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곤 누구에게나 익숙한 대패와 망치, 끌, 줄자 등 가벼운 연장들이 뒤따라 나왔다. 목공인들은 50여 가지의 장비를 배열해 자연에서 온 목재가 자신들의 손길을 거쳐 놀이기구와 가구 등 일상 용품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표현했다.
목공은 원목에 정성과 노력, 시간을 녹여내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다. 자연 그대로인 나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또는 노력의 결실이 마침내 모습을 드러낼 때 목공인들은 성취감과 함께 ‘힐링’을 경험한다. 교사에서 목공인으로 전업한 이경경 '포스트웍스(POSTWORKS)' 공동대표는 “본능적으로 사람들은 나무에 대한 갈망이 있어 그에 대한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며 “많은 인파가 전국의 유명한 산을 찾는 것도 넓은 의미에선 같은 맥락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와 함께 목공방을 운영하는 정준 공동대표는 목공이 단순한 취미나 힐링을 넘어 생계 유지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캐나다나 호주 등으로 이민을 가는 사람들에게도 목공은 인기가 높다"며 "마당이 넓은 단독주택에서 살다 보면 필요한 가구나 장비를 스스로 만들어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예 목공을 배워 기술이민을 떠나는 분들도 종종 있다"고 전했다.
이미 취미로서, 제2의 직업으로서 각광받는 목공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그 인기가 더욱 치솟았다. 목공 공방마다 수강 희망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이 줄어들고 혼자 만의 시간이 늘어난 사회적 현상과 관련이 깊다. 또한,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자연의 향기가 느껴지는 나무를 통해 자기 개발과 취미를 찾아가는 이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목공 기술을 익힌 후에는 가구제작기능사와 목공예기능사, 가구제작산업기사 등 세 가지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이 중 최상위 수준인 가구제작산업기사의 경우 취득이 쉽지 않다. 자격증 발행 관리 기관인 산업인력공단이 지난해 처음 시행한 자격증 시험에 수백 명이 응시했으나 단 9명 만이 최종 합격했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목공 기술 교육에 대해 이 대표는 “대다수 공방이 마찬가지인데, 아직도 도제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보니 가르치는 사람에 따라 배울 수 있는 내용에 차이가 많다”며 “목공 관련 용어나 장비 명칭도 제각각이어서 혼란이 있는 만큼 우리 환경에 맞는 통일된 교육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무더위 속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리면서도 밝기만 한 목공인들의 표정에서 아동문학가 쉘 실버스타인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떠올랐다. 책 속에서 일생 동안 모든 것을 내어준 나무의 희생적인 사랑에 소년은 잊지 못할 감동을 받았다. 아마도 ‘아낌없이 준다’는 표현에는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위로가 포함돼 있을 것이다.
목공이란, 모든 것을 건네 준 자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고결한 의식이 아닐까.
홍인기 기자 hongi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