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청와대 민정수석 3명 중 2명이 감사원 출신이다. 김종호 신임 민정수석과 김조원 전 민정수석 모두 감사원 사무총장을 지냈다. 이는 문 대통령의 감사원에 대한 편애라기보단 ‘민정수석실의 탈검찰화’ 약속과 맞물린 측면이 크다. 김종호 수석이 현 정부 초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으로서 권력기관 개혁 밑그림을 그렸다는 점을 문 대통령은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최재형 감사원장 체제의 감사원과 청와대 사이에 ‘불편한 기류’가 흐르는 상황에서 감사원 2인자인 사무총장이 민정수석으로 직행하는 건 여러 정치적 해석을 낳는다. '감사원을 견제하려는 목적 아니냐'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역대 정부에서 민정수석과 산하 비서관을 검사 출신으로 채운 결과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한다고 봤다. 이에 청와대와 검찰의 ‘거리 두기’를 대원칙으로 삼았다. 인사 검증, 공직자 직무 감찰 등을 담당하는 민정수석 후보 풀에 감사원 출신이 우선 순위로 포함된 건 자연스러웠다. 한 여권 관계자는 11일 “‘검찰 배제’라는 기조 하에서 사람을 찾다 보니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김종호 수석이 현직 감사원 사무총장에서 곧장 청와대로 옮긴 것은 부적절하단 뒷말도 나온다. 특히 최재형 원장과 청와대의 관계가 좋지 않다는 점을 들어 이번 인사에 감사원을 관리ㆍ감시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월성1호기 경제성 타당성 감사를 강도 높게 진행 중이다. 특히 최 원장은 감사위원 인사권, 월성1호기 감사 방향 등을 두고 최근 청와대와 불협화음을 냈다는 논란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감사원 사정을 잘 아는 이를 민정수석으로 두는 건 청와대로선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최 원장과 김 수석은 그다지 친밀하다고는 볼 수 없는 업무적 관계인 반면 김 수석의 문 대통령을 향한 충정은 익히 알려져 있다"는 게 감사원 안팎의 평가다.
청와대는 그러나 정치적 해석에 분명하게 선을 긋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종호 수석을 임명한 것은 업무 연속성 측면에서 봐야 한다. 김 수석 임명과 청와대ㆍ감사원의 관계와는 별다른 연관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부터 1년 3개월간 민정수석실에 근무하며 검찰, 경찰, 국가정보원 등 권력기관 개혁 작업을 맡았던 그에게 마무리 작업을 맡기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뜻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문재인 정부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높다”고 김 수석 기용 배경을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