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 안 맞는 정부-시도교육청 '교육안전망 대책'
비수도권 시도교육청은 "전면등교" 권고
올해 1학기 원격수업으로 학생간 학습격차가 심화됐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해소 방안을 내놓았다. 인공지능(AI)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해 개별 학생의 학습결손을 찾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기초학력 부진학생은 당장 여름방학 중 지도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수도권을 제외한 상당수 시도교육청은 2학기 전면 등교를 격차 해소 방안으로 추진하기로 해 정부와 일선 교육청 간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1일 세종시 세종시교육청에서 이런 내용의 ‘교육 안전망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학력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AI를 활용, 개별 초등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추천하기로 했다. 우선 2학기부터 초등 1~2학년 수학, 3~6학년 영어와 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 보급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사가 학급방을 만들어 진단 문제를 올려주면 학생들이 문제를 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AI가 (학습결손) 처방을 내리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대면·비대면으로 ‘자기주도학습’ 방법도 알려준다. 학습 멘토 2,000명을 모집해 멘토 1인당 초등생 멘티 20명을 관리하는 ‘에듀테크 플랫폼’을 만들고 학습지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고교생의 경우 일선학교 우수 교사 500명이 중하위권 3,000명의 ‘1:1 학습 컨설팅’을 실시한다. 이밖에 여름방학부터 기초학력 부족 학생의 집중 지도를 실시하고, 2학기부터 보충학습이 필요하거나 희망하는 초·중·고 학생에게는 ‘교과 맞춤형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포석이라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5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학습격차 개선 방안으로 37%가 ‘등교수업을 통한 오프라인 보충 지도’를 꼽아 교육부 대책은 애초부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내놓은 ‘학습 관리 진단 플랫폼 구축’,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학습격차 해소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응답은 각각 31.2%, 9.1%에 그쳤다.
실제 교육현장에선 2학기 전면 등교 수업을 결정하거나 검토하고 있다. 강원도교육청과 충남도교육청은 도내 모든 학교에 ‘2학기 전교생 등교수업’을 권고했고, 대구교육청 역시 11일 2학기 전교생 등교 권고안을 발표했다. 제주도교육청도 2학기 전면등교 추진을 검토 중이다. 전북도교육청과 대전교육청은 교육부가 지난달 31일 권고한 초중교생 3분의 2등교안을 유지하면서 학교별로 매일 등교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에 결정권을 넘긴 상태다. 강원도교육청 관계자는 “각 학교가 안정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코로나19으로 인한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2학기 전면 등교가 예상됨에 따라 학교 방역에는 비상이 걸렸다. 교육부는 우선 2학기 코로나19 2차 유행을 대비해 534만명에 달하는 전국 초중고생 전원에게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기로 했다. 필요 시 각 시도교육(지원)청에 감염병·방역 분야 전문가를 배치하고 학교별 마스크, 소독제, 손소독제 등 구입을 위해 약 283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돌봄교실은 1학기와 마찬가지로 수요조사를 거쳐 오전 9시부터 19시까지 희망하는 모든 학생이 이용 가능하도록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