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근무자까지 모두 7일 파업 동참
의대생들도 "1주일 동안 수업·실습 거부"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기로 결정한 이후 의료계의 반발이 나날이 거세지고 있다. 양측이 대화창구를 열어 파국을 막으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대형병원 시스템을 최일선에서 담당하는 전공의들의 협의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이달 7일 전국적 파업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갈등은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의료계에서는 교수진이 하루 정도는 전공의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지만 자칫 파업이 이어질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심각한 의료공백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대전협은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등 병원의 필수유지업무에 종사하는 전공의들도 모두 7일 예정된 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필수유지업무 분야 전공의는 파업 대상자에서 제외하기로 했다가 입장을 바꾼 것이다. 대전협은 정부가 추진하는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김형철 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 홍보대변인은 "보건복지부 실무자들에게 토론을 요구하면 정치권에서 이미 논의됐다고만 한다"면서 "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지난 2일) 의료계와 대화하겠다고 한 말은 기만"이라고 밝혔다.
전공의(레지던트)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대학병원 등에서 수련하는 의사를 칭한다. 이들은 의과대학 학부과정과 1년간의 병원 수련 과정(인턴)을 마치고도 병원에 3~4년간 더 머물면서 실무능력을 기른다. 교수와 함께 병동을 돌면서 채혈 등 비교적 간단한 시술도 하지만 수술방에서 교수를 보조하기도 한다. 서울대병원 본원의 경우, 의사 1,500여명 가운데 500여명이 인턴과 전공의로 채워져 있다. 이들이 한번에 파업에 동참할 경우, 영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병원들은 파업이 한 차례로 끝나기만을 바라고 있다. 저연차 전공의는 업무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정도는 교수진이나 수련 중인 전문의들로 부족한 일손을 채울 수 있다. 그러나 파업이 거듭되면 의료진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서울의 '빅(BIG) 5' 대형병원들도 대책 마련에 나선 까닭이다. 이들 병원마다 500명여명 안팎의 전공의가 수련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은 교수진 근무자를 늘리기로 확정했고, 서울삼성병원과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대병원 본원은 파업 참여율을 가늠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파업이 하루에 그친다면 그 영향은 진료대기가 길어지거나 일부 수술이 연기되는 정도일 것"이라면서도 "파업이 길어진다면 진료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수는 없다"라고 우려했다.
대전협이 추가로 파업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김형철 홍보대변인은 "14일 예정된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에도 공조할 계획이지만 파업에 참여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의학교육을 제대로 하려며 적절한 병원 등 막대한 인프라가 필요한데 정부는 정원 확대만 발표했을 뿐, 인프라(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자세한 계획은 전혀 밝히지 않았다"면서 "교육부가 서남대 의대를 살리려고 굉장히 노력했지만 결국 문을 닫았다. (그러지 않으려면) 정부와 의사들이 함께 정책을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파업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한편, 의대생들로 구성된 대한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해 7일부터 14일까지 1주일간 수업과 실습을 거부하기로 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