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없는 제약기업은 죽은 기업"...평생 신약개발에 헌신
국내 제약업계의 ‘큰 별’인 임성기 한미약품그룹 회장이 2일 새벽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0세.
경기 김포 출신인 임 회장은 중앙대 약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서울 동대문에서 ‘임성기 약국’을 열었다. 약국을 운영해 자금을 모은 그는 1973년 ‘임성기 제약’을 설립한 다음, 그 해 상호를 한미약품으로 바꾼 뒤 ‘한국형 연구개발(R&D) 전략을 통한 제약강국 건설’이라는 꿈을 품고 약 48년간 기업을 이끌었다.
업계에서 임 회장은 복제약(제네릭) 개발에 한정됐던 국내 제약업계 R&D 분야에 신약의 중요성을 일깨운 인물로 통한다. “R&D 없는 제약기업은 죽은 기업, R&D는 나의 목숨과도 같다”고 했던 확고한 신념으로 임 회장은 신약개발에 과감하게 투자했다. 한미약품은 지금까지 해마다 매출액의 최대 20%에 이르는 금액을 신약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최근 20여년간 한미약품이 R&D에 투자한 누적 금액은 약 2조원에 달한다.
덕분에 한미약품은 1987년 한국 제약업체 최초로 다국적 제약사 로슈에 항생제 제조기술을 수출했다. 2003년엔 국내 첫 개량신약인 고혈압 치료제 ‘아모디핀’을 출시했다. 계속된 R&D 투자 때문에 2010년엔 창사 이래 첫 적자까지 냈지만, 임 회장은 신약개발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결국 한미약품은 2015년 한 해동안 해외 유명 제약사 7곳에 자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과 관련 기술을 총 약 8조원 규모로 수출(라이선싱 아웃)하면서 이름을 널리 알렸다.
업계에선 기술수출이 국내 제약업계의 주요 R&D 모델로 자리잡은 것도 사실상 한미약품의 이런 성과에 큰 영향을 받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비록 한미약품 기술수출 계약의 상당 부분이 이후 변경 또는 반환되긴 했지만, 해외 기업에 비해 규모가 작은 국내 제약사가 수천억원이 드는 신약개발을 끝까지 끌고 가기가 쉽지 않은 만큼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시도는 중소 제약사나 바이오 벤처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많다. 대형 기술수출 성과를 낸 이듬해인 2016년 임 회장은 2,800여명에 이르는 그룹사 전 임직원들에게 한미사이언스 주식을 무상으로 증여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송영숙씨와 장남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사장, 딸 임주현 한미약품 인적자원 및 글로벌전략 부사장, 차남 임종훈 한미약품 경영기획 부사장이 있다.
장례는 고인과 유족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치른다. 빈소는 미정이며, 발인은 6일 오전이다. 유족 측은 조문과 조화는 정중히 사양한다는 뜻을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