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문자는 하나의 기호에 하나의 낱소리를 짝지어 표기한다. 그래서 이론적으로는 기호의 음가를 익히면 제소리를 내는 데 문제가 없어야 한다. 하지만 음소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영어가 그렇듯이 한글 역시 낱소리의 음가대로 또박또박 읽으면 알아듣기 힘들다. 우리말은 그나마 다른 언어에 비해 철자별 발음에 규칙이 있는 편이어서 두음법칙, 구개음화 등 음운 현상들을 규칙화하여 표준어 규정 안에 표준 발음법을 마련하고 있다.
글자는 전승되면서 잘 변화되지 않으나 말소리가 변해서 굳어지면 결국 변화를 이겨내지 못하고 ‘ㅸ’이나 ‘ㅿ’, ‘ㆍ’처럼 글자가 아예 소멸되기도 한다. 표준어 규정이 있는 오늘날은 옛날과 다를까? ‘ㅔ’와 ‘ㅐ’는 그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소리가 변하는 것을 음운변화라고 하는데 이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서 매우 느리게 일어난다. 세종이 한글을 만든 15세기에는 이 두 글자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그러다가 18세기에 이르러 지금 우리가 발음하는 단모음으로 바뀌었다. 이제 두 발음은 서서히 합쳐지고 있다. 글자는 바뀌지 않는데 그에 해당하는 말소리가 변하는 중이다.
이 현상은 국어학에서는 오랜 관심사였고 요즘은 컴퓨터 분석으로 그 변화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몇몇 실험에 따르면 젊은 세대일수록 ‘ㅔ’와 ‘ㅐ’의 발음 차이가 작다고 하니, 두 소리가 합쳐지는 현상이 지금도 시나브로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우리가 구별해서 발음하지 못하다 보니 ‘ㅔ’와 ‘ㅐ’가 들어간 단어들은 외국인들이 배우기 어렵다고 한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외국인들은 우리말이 변했음을 먼저 느끼고 있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