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함께 지속가능 성장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공간계획ㆍ관리 개념으로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스마트시티(Smart City) 개념이 핵심이슈로 등장했다.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이 적극 추진된 것은 최근 5년 정도며, 대부분 산업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된 기존 도시의 당면과제인 교통, 에너지, 환경 등을 주요 이슈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도 교통, 에너지, 환경, 복지, 행정, 건강 등 관련 요소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사업추진 방식으로는 정부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기술 집약적 신도시 개발 방식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위험성 증가와 연안에서의 피해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연안지역은 항만, 발전소, 산업단지 등 국가기반시설과 배후주거지 등이 밀집해 있어 재난 시 대규모의 복합적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 국민적 불안과 관심이 매우 높다. 재난ㆍ재해 형태가 다양해지고 연안에서의 피해규모 증대, 이용형태 다양화와 이용수요 증가 등은 해양ㆍ연안공간에 대한 단편적 접근이 아닌 근본적ㆍ통합적 접근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공간구조상 산지가 약 70%를 차지하며 3면이 바다로 해양성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 홍수, 집중호우 등 풍수해 증가와 이에 따른 피해 복구비용도 급증하고 있다.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5조원을 상회하고 사망ㆍ실종 등 약 250명의 인명피해를 냈으며, 2003년 '매미'로 약 4조3,000억원, 2004년 '메기'로 약 2조5,000억원, 2007년 '나리'로 약 1조6,000억원 등 그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최근 공간관리 이슈가 사후대응방안에서 사전예측에 의한 선제적 대응체계로 변화하고 있다. 해양은 계속적인 움직임이 있어 변동성을 가지며 이는 육역과 구별되는 특성으로 해양ㆍ연안공간 관리를 위해서는 지능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연안지역은 태풍, 해무, 파랑, 조석 등 해양기상재해와 해양지진, 지진쓰나미와 같은 해양지진재해 등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다. 자연재해 예측과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스마트시티 요소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한 해양ㆍ연안공간 관리 모델로 해양스마트시티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양스마트시티(Marine Smart City)란 'ICT를 포함한 스마트 첨단기술이 기반이 돼 해양에서 기인하는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시켜 나가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할 수 있다. 해양의 특수성으로 인해 특히 취약한 해양재난ㆍ재해에의 선제적 대응을 기반으로 해양ㆍ연안공간별 특성 및 주요 현안에 따라 해양환경, 수산자원, 해양생물, 해양관광 등의 기능이 제공되며, 이는 기존 국토ㆍ도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구성요소에 해양관련 다양한 혁신기술 요소가 추가ㆍ결합돼 도시 내 각종 인프라와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미 정보통신기술은 보편화돼 국민 생활환경과 도시민 활동의 많은 부분에 효율화를 가져왔다. 진정한 스마트시티는 한순간 구현되고 기능하는 이상적인 공간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과 기술의 발전을 수용하고 주변 지역과 교류하면서 도시민의 삶이 능동적으로 바뀌어가는 공간일 것이다. 따라서 해양스마트시티는 '교통, 환경, 에너지 등 도시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에의 대처는 물론 해양재난ㆍ재해 위험의 관리ㆍ예방과 효율적 대응 외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께 ICT를 활용, 해양ㆍ연안공간별 특성 및 주요 현안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ㆍ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으로서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 요소기술을 활용한 해양스마트시티 미래상 구체화 작업과 실행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전 세계적으로 해양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모델을 제시한 사례는 아직 없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동해, 서해, 남해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이를 활용한 해양스마트시티 표준모델 개발과 세계적인 스마트시티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모델 발굴ㆍ선점이 필요하며,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기적ㆍ체계적ㆍ전략적 접근과 추진이 요구된다. 아울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초년도 시범사업 발굴과 적용가능한 기술요소의 단계적 실증 및 고도화를 통한 성공사례 도출이 중요하며, 지역과 국가차원의 혁신적 노력이 수반돼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이주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