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만에 재추진, 10일 토론회 개최
30년 전부터 추진됐다가 6차례나 무산된 무안반도(전남 목포시·무안군·신안군) 통합이 8년여 만에 재 추진된다.
특히 이번 통합논의에서는 그동안 심한 반대의견을 보여온 무안군을 제외한 목포와 신안지역 시민단체가 추진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무안반도 통합논의는 1994년 첫 시도 이후 7번째다.
7일 신안미래연구원과 (사)목포포럼 등에 따르면 오는 10일 오후 2시부터 목포해양대학교 소강당에서 '신안ㆍ목포 통합하면 무엇이 좋아지나' 라는 주제로 서남권 주민소통과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무안반도 통합논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역사적 동질성과 글로벌시대 광역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추진됐으나 현실의 벽을 넘지 못했다. 무안군이 지역정서를 무시한 일방적 추진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신안군도 가세하면서 그 동안 6차례 실시된 주민여론조사에서 과반 이상의 찬성을 얻지 못했다.
2012년 이후 잠잠하던 행정통합 논의는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무안군을 제외한 목포-신안만의 선(先)통합론이 제기되면서 수면 위로 부상했다.
목포시와 신안군은 행정구역상으로는 분리돼 있지만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이다. 목포시 인구의 약 60%가 신안군이 고향이거나 연고가 있으며, 2만3000여세대의 신안군 인구 약 40%가 목포에 집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목포와 신안은 생활과 문화·관광권 모두 1일권이지만 행정구역만 나눠져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무안군이 전남도청 이전 후 인구 증가로 시 승격을 노리면서 무안반도 통합이 멀어졌지만, 목포와 신안 양지역 통합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목포정가의 통합 찬성론자들은 과거 전남의 제1도시였던 목포 위상이 추락하면서 동부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남권의 미래를 위해서도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목포는 전체 면적이 넉넉지 않아 연륙교로 이어지는 신안지역으로 지역발전의 축이 옮겨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행정통합이 이뤄질 경우 30여만 규모의 도청소재지 배후도시로서 위상과 예산 2조원대의 자생능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공공시설물의 중복투자 배제와 관리비용의 절감, 농어촌과 도시의 상호 보완성 확대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목포와 신안의 통합시 달라지는 위상과 변화상을 주민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조상필 광주전남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 강봉룡ㆍ김병록 목포대 교수, 최영수 세한대 교수, 강성길 전 신안포럼 대표 등의 토론이 이어진다.
이날 토론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발표자와 토론자, 주요 인사 등만 참석한 가운데 방청객 없이 유투브 중계 등으로 진행된다.
특히 김종식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 양 지역 기초단체의회 의장도 참석할 예정이어서 지역 정가의 통합에 대한 관심도가 한층 높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토론에 나설 최 교수는 "세금과 지역적 편차, 혐오시설 등 주민들의 근거없는 불안감을 없애고 교육혜택과 특별교부세 등 통합에 따른 장점 들을 홍보할 예정"이라며 "정치권 수장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우선이 되는 통합을 이루기 위한 최적기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곽유석 목포포럼 전 대표는 "목포와 신안의 행정구역 통합은 미룰 수 없는 서남권 발전의 선결과제"라면서 "제도적 절차에 앞서 양 시ㆍ군이 동수로 참여하는 민간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