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중 정서 불 붙은 인도마저… 위기의 화웨이 5G
글로벌 5세대(5G) 통신망 구축산업의 선두주자였던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가 장고 끝에 화웨이 배제로 가닥을 잡았고, 갈팡질팡하던 인도도 최근 국경 무력충돌 후 반(反)화웨이 방침을 굳혔다. 경제적 실익보다 정치ㆍ안보 차원의 이 같은 결정을 하는 나라들이 더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5G 통신망 사업에서 화웨이 장비를 단계적으로 퇴출시킬 계획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최근 국가사이버보안센터(NCSC)가 화웨이 장비 배제를 결정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에 따라 핵심 분야를 제외하고 시장점유율 35%까지는 화웨이 장비를 허용하려던 기존 정부안 대신 단계적 퇴출안이 조만간 의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그간 영국을 유럽시장의 교두보로 여겨 20억파운드(약 3조원) 이상을 쏟아부었던 화웨이로서는 난감한 상황이 됐다.
프랑스도 발을 뺐다. 기욤 푸파르 사이버방첩국(ANSI) 국장은 이날 "전면 금지는 아니지만 통신사들에게 화웨이 장비로 전환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통신사 4곳 중 2곳은 이미 노키아와 에릭슨을 선택했고, 기존 4G에 이어 화웨이 설비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은 나머지 2곳에 대해 제동을 건 것이다. 푸파르 국장은 "화웨이나 중국을 향한 적대행위가 아니다"고 해명했지만, 실질적인 화웨이 퇴출 조치라는 게 현지의 평가다.
영국과 프랑스의 결정에는 미국이 지난 5월 최후통첩처럼 공표한 제재 가능성 경고의 영향이 컸다는 게 중론이다. 당시 미 상무부는 자국 기술을 활용하는 외국기업이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수출규정을 개정했다. 최근엔 아예 공식적으로 화웨이를 국가안보상 위협으로 못박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에 이어 홍콩 국가보안법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정치ㆍ안보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는 분위기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정보기술(IT) 강국이면서 근래 산업적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인도의 화웨이 배제 결정도 주목할 만하다. 인도에서는 국경분쟁 과정에서 45년만에 사망자까지 발생하자 중국산 제품 불매운동이 거세게 일었고 결국 그 불똥이 5G 통신망 사업으로도 튀었다. 중국의 저가 공세에 골머리를 썩여온 인도 정부로서는 들끓는 민심을 등에 업을 수 있었던 셈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