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전격 보류했다. 군사적 충돌로 치달을 수 있는 위기 상황이 일단 진정된 것이지만 북한이 언제든 강경 기조로 다시 돌아설 수 있는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24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23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를 주재하며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했다. 북한군이 최전방 지역에 재설치한 30여개 확성기 시설을 다시 철거하고, 대외 선전매체에 게재했던 대남 비난 기사들을 삭제한 것은 그 후속 조치로 여겨진다. 북한이 예고했던 대남 전단 살포도 당분간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우리 군 당국은 전망하고 있다. 확성기 선전 대결이나 대남 전단 살포는 접경지역에서의 우발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자제키로 한 것은 일단 다행한 일이다.
북한의 숨고르기는 미국의 반응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이 해군 항공모함과 B-52 등 전략자산을 서태평양에 전개하는 것을 보면서 무력 충돌을 향해 질주하는 것에 대한 위험 부담을 자각했을 수 있다. 개성 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내부 주민 결속, 국제사회의 이목 집중, 김여정 제1부부장 위상 강화 등 북한이 원하는 목표는 충분히 달성했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군사행동을 보류한 것일 뿐 북한이 강경 모드를 접은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북미 관계에 근본적 변화가 없는 데다 갑작스러운 급선회는 내부적으로도 설득력을 갖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로서는 북한의 조치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긴장 완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당장은 대북 전단 살포 등 북한을 자극하는 일을 피하되 궁극적으로 미국과 조율하는 것이 긴요하다. 다만 김여정 제1부부장이 막말을 쏟아내며 선을 넘는 강경함을 보인 반면, 김 위원장은 군사행동을 보류하며 대화의 여지를 남긴 것이 주목된다. 출구전략을 찾기 위한 방안으로 역할 분담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북한에 군사행동 철회를 압박하면서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유도해야 한다. 북한의 군사행동에는 우리도 맞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것도 보여줘야 한다. 과도한 희망을 갖기보다는 냉철한 판단과 협상의 묘가 필요한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