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 주재 미국 총영사관이 22일 다시 문을 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으로 중국이 지난 1월 말 우한을 전격 봉쇄하자 현지에서 가장 먼저 공관을 폐쇄한지 5개월만이다. 양국 간 영사관계를 정상화하는 과정이지만,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발원을 둘러싼 공방이 다시 불붙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관영 CCTV 등 중국 매체들은 10일 “미국 국무부가 이달 22일 전후로 우한 총영사관 운영을 재개하는 방안에 대해 이미 의회에 보고를 마쳤다”는 미 CNN방송의 보도를 인용했다. 미 국무부는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1월 23일 우한을 봉쇄하는 초유의 조치를 취하자 이튿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를 통해 “총영사관 운영을 임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28일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우한에 전세기를 보내 자국민을 모두 데려오면서 총영사관 직원들도 함께 철수시켰다.
미국의 선제적 조치 이후 한국을 비롯해 일본 영국 프랑스 등이 앞다퉈 전세기를 투입하면서 ‘중국 대탈출’ 행렬이 끊이지 않았다. 당시 중국은 전세기 이륙을 동트기 전 새벽에야 허용할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가장 먼저 중국을 떠난 미국을 향해 섭섭한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냈고, 이는 양국관계가 악화하는 도화선 중 하나였다.
이번 미국의 공관 재개 방침은 표면적으로 우한의 코로나19 위험이 현격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우한시민 900만명을 전수 검사한 결과 코로나19 감염자는 확진 1명, 무증상 200여명에 불과했다. 우한은 이미 중국 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저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반면 코로나19 기원을 놓고 미중 양국이 여전히 거칠게 맞붙는 상황에서 미국의 우한 총영사관은 대중 공격의 전초기지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 미 정부 고위관료들은 중국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가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발원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총영사관 직원 일부가 선발대로 우한에 들어오는 과정에서 중국 정부가 입국을 허가하지 않아 양국 외교당국 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미국이 자국 내 중국 유학생 3,000여명 추방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압박하자 중국이 한 발 물러섰다는 후문이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