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급락했던 코스피가 약 3개월 만에 2,000선을 회복했지만 주가가 지나치게 고평가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 각국의 경기부양책과 전례 없는 수준의 유동성에 힘입어 최근 상승 랠리가 이어져 왔지만 기업 실적 개선은 뒤따르지 않고 있어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일 현재 코스피의 최근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25.00배였다. 이는 지난 2002년 7월 18일(25.31배) 이후 약 17년10개월 만에 최고치다. PER은 주식 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주가가 고평가돼 있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코스피19 폭락장에서 PER은 약 12배까지 떨어졌다가 증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자 덩달아 급등했다.
주가는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등을 반영하는 수치다. 때문에 PER이 높아도 기업 실적 전망이 밝으면 고평가 부담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실적 전망이 좋지 않다는 게 문제다. 거래소 집계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금융업 제외)들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연결기준)은 52조4,420억원으로 전년보다 무려 52.82%나 급감했다. 올해 1분기 역시 순이익이 11조33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7.80%나 줄었다.
반면 코스피는 지난 5일 2,181.78로 어느새 2,200선까지 내다보는 상황이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기 직전인 2,162.84(2월 21일) 수준을 웃돈다. 1월 22일 기록한 연중 고점(2,267.25)까지는 불과 85.38포인트(3.91%)만 남겨둔 상태다.
이 때문에 기업 실적에 대한 구체적인 회복 없이 기대감 만으로 주가가 오르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승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 5일 보고서에서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에 의하면 향후 6개월 내 코스피 기대 수익률은 5% 내외에 불과하다”며 “단기적으로 코스피 상승 여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향후 주요국 정부의 재정확대와 중앙은행의 정책이 주가에 우호적임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국내외 주식에 대한 시각은 낙관적”이라고 덧붙였다.
조아름 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