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관 교체하고 고도정수처리시설 확충
수질 정보 24시간 공개하고 수질안전팀 배치
인천시가 제2의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를 막기 위해 스마트 관망 관리 인프라를 내년 말까지 구축한다. 정수장에서 배수지를 거쳐 가정에까지 이르는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적용해 수질ㆍ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ㆍ관리, 수질 사고를 막겠다는 것인데 국ㆍ시비 527억원을 투입한다. 전문 인력이 수질 검사ㆍ개선을 책임지는 인천형 수돗물 관리(워터 케어) 서비스도 이르면 7월부터 시범 운영한다.
31일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지난해 5월 발생한 적수 사태 1년을 맞아 공개한 상수도혁신 추진상황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실시간 수압계, 자동수질 측정장치, 정밀여과 장치 등 스마트 관망 관리 인프라를 구축한다. 구축이 끝나면 시민들은 공정별로 수돗물 수질을 손쉽게 알 수 있다. 무선인식(RFID) 기술을 활용해 관로 설치일, 점검일 등을 확인하는 원격 검침도 가능해진다.
수도사업소별로 수질안전팀을 7월 중에 신설해 워터 케어 서비스도 시범 운영한다. 전문 인력이 수도꼭지 수질과 옥내 관로 부식도 등을 검사하고 개선 방안을 찾아 지원하는 서비스다. 시범 운영 결과를 분석해 18개조 36명의 인력을 확보, 내년 1월부터 본격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해 적수 피해를 입은 서구의 불량관 2.5㎞를 교체한 것을 포함해 올해 88.8㎞ 등 2025년까지 총 410.9㎞ 길이의 노후 수도관을 3,752억원을 들여 바꿀 예정이다. 2025년까지 88억원을 투입해 73㎞ 구간에 대한 세척 작업도 한다. 맛과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된 고도정수처리시설도 확충한다. 현재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춘 곳은 정수사업소(정수장) 4곳 중에 부평ㆍ공촌 등 2곳뿐이다. 나머지 수산ㆍ남동정수장은 각각 올해와 내년에 착공하며 사업비는 1,430억원이다.
정수장 4곳에 이어 배수지 33곳, 관말지역 26곳에 대한 수질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수질검사 항목을 탁도와 잔류염소 등 6개 항목에서 색도, 일반세균 등을 더해 13개 항목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적수 사태를 유발한 수계 전환과 관련한 매뉴얼을 제정하고 수돗물평가위원회 등에 시민과 시민단체 참여도 늘린다.
적수 사태는 지난해 5월 30일 서구지역에서 처음 ‘적수가 나온다’는 민원이 접수되면서 알려졌다. 공촌정수장에 원수를 공급하는 풍납취수장 등이 전기설비 점검을 이유로 가동을 중지해 인근 정수장에서 대신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방향이 잘못돼 관로의 물때가 떨어지면서 발생한 사고였다.
적수 민원은 다음달 영종도, 강화도까지 번졌는데, 상수도사업본부는 수질검사 결과 ‘적합’ 판정이 나왔다는 말만 반복해 화를 키웠다. 결국 박남춘 시장의 공식 사과로 이어졌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14일~7월 26일 약 한달 반 동안 정수지와 배수지 청소 등 수질 안정화 작업을 진행한 뒤 같은 해 8월 5일 수돗물 정상화 선언을 했다. 그러나 매뉴얼조차 지키지 않은 수계 전환 과정과 안일한 초기 대응의 후유증은 컸다. 수돗물 피해보상금 66억6,600만원과 상하수도 요금 면제 269억7,00만원 등 보상에만 365억7,900만원이 들어갔다. 사고를 은폐하려 한 혐의(허위 공문서 작성 등)로 상수도사업본부 공무원 4명은 재판에 넘겨졌다.
박영길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수돗물에 대한 신뢰 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환직 기자 slamh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