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저소득층 소득이 소폭 줄어든 반면, 고소득층 소득은 늘어나면서 소득분배가 악화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이 저소득층 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3월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5만8,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1.8% 늘었고 사업소득(2.2%), 이전소득(4.7%) 등이 함께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코로나19로 퇴직자가 늘어나면서 퇴직금이 포함된 비경상소득은 1년 사이 79.8% 증가했다.
소득 증가는 소득 수준에 따라 양상이 달랐다.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가구 소득은 1,000원(0.0%) 감소한 반면, 상위 20%인 5분위 소득은 6.3% 증가했다. 또 △2분위(하위 20~40%) 0.7% △3분위(상위 40~60%) 1.5% △4분위(상위 20~40%) 3.7% 등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율이 컸다. 이에 따라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분기 5.18배에서 올해 5.41배로 확대됐다.
저소득층 소득 증가 둔화는 코로나19가 일용ㆍ임시직 일자리에 먼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실제 1~3분위 근로소득은 전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강신욱 통계청장은 “공적 이전소득 확대에도 불구하고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한 고용부문 소득의 증가율이 저소득 분위에서 낮게 나타났던 것이 전체적인 소득분배를 악화시켰다”고 설명했다.
이 기간 월평균 소비지출은 287만8,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6.0%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의류ㆍ신발(-28.0%), 오락ㆍ문화(-25.6%), 음식ㆍ숙박(-11.2%)에 지출하는 금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탓이다. 소득이 늘어나는 사이 지출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가구당 흑자액(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은 전년 대비 38.4% 증가한 141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은 이날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분배지표 악화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회의) 참석자들은 4월 들어서도 임시ㆍ일용직 중심 취업자 감소세가 확대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분배악화가 2분기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엄중히 인식했다”며 “1분기 소득분배 악화의 주원인이 저소득층 고용감소로 분석되는 만큼, 고용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손영하 기자 froze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