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설] 광주에서 ‘국민 통합’ 다짐한 여야, 그 약속 반드시 지켜야
알림

[사설] 광주에서 ‘국민 통합’ 다짐한 여야, 그 약속 반드시 지켜야

입력
2020.05.19 04:30
27면
0 0
5ㆍ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일인 18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광주광역시 북구 5.18민주묘지 추모탑에서 묵념하고 있다. 광주=왕태석 선임기자
5ㆍ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일인 18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광주광역시 북구 5.18민주묘지 추모탑에서 묵념하고 있다. 광주=왕태석 선임기자

5ㆍ18 민주화 운동 40주년 기념식이 18일 광주 옛 전남도청 광장에서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첫해인 2017년과 지난해에 이어 세 번째로 기념식을 찾았고, 여야의 주요 정치인도 자리를 같이했다. 코로나19 위기 탓에 행사는 예년보다 축소됐지만, 진보ㆍ보수를 가리지 않고 모처럼 만에 협력과 공존의 기운이 물씬했다.

이는 일부 극우 인사들의 망언으로 5ㆍ18 기념식이 사회 분열과 갈등의 현장으로 전락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극적인 변화다. 당시 황교안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전신) 대표가 망언 당사자에 대한 조치 없이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물병 세례 봉변을 당하자, 한국당은 여권을 향해 “반쪽짜리 기념식”이라고 손가락질했다.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ㆍ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는 문 대통령의 일침은 사태를 잠재우기는커녕 오히려 보수 진영을 자극했다.

올해는 달랐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5ㆍ18 민주화 운동을 둘러싼 갈등과 상처를 모두 치유하고 5ㆍ18 정신으로 하나된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시민들은 그런 그를 향해 고성과 물세례 대신 덕담을 보냈다. 문 대통령도 이날 기념사에서 “이제라도 용기 내 진실을 고백한다면 용서와 화해의 길이 열릴 것”이라며 가해자들에게 다시 한번 손을 내밀었다.

5·18을 둘러싼 소모적 갈등과 분열이 재연되지 않은 건 어찌됐건 다행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다. 5ㆍ18진상조사규명위원회가 발족한 만큼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관계의 확정을 통해 갈등의 싹을 없애야 한다. 5ㆍ18을 국민 통합의 밀알로 재정립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월 정신은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것”이라고 선언했다. 5ㆍ18을 두고 벌어지는 불필요한 갈등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는, 국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도록 5ᆞ18 항쟁의 의미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마침 미래한국당도 이날 “5월의 광주는 이제 특정 지역, 특정 계층, 특정 정당의 것이 아니다”고 화답했다. 오랜만에 나온 ‘통합’ 약속이 허언이 되지 않으려면 여야는 5ㆍ18을 정치 공방의 소재 삼아 희생자의 상처를 덧나게 하는 일은 다시는 하지 말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