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사설] 윤미향 당선인,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명 내놓으라
알림

[사설] 윤미향 당선인,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명 내놓으라

입력
2020.05.19 04:30
27면
0 0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열린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발언을 하고 있다. 심현철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열린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발언을 하고 있다. 심현철 기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관건은 정의연 이사장 출신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정의연 기금을 사적으로 취했는지 여부인데, 확증은 없으나 미심쩍은 정황이 적지 않다. 윤 당선인이 제기된 의혹에 대해 객관적 자료와 함께 공개 해명하는 것이 시급하다.

부실한 회계 처리에 이어 정의연에 제기된 의혹은 경기 안성시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쉼터) 고가 매입 논란, 쉼터 관리를 윤 당선인 부친에게 맡겨 관리비를 지급한 문제, 고(故) 김복동 할머니 장례 때 윤 당선인 명의의 계좌로 조의금을 받은 문제, 윤 당선인의 아파트 구입 자금 출처 등이다. 윤 당선인의 해명대로 기부금 집행 기한이 정해져 있어 급히 매입을 하느라 벌어진 일일 수도, 장례의 관례일 수도 있다. 어쨌든 쉼터를 고가로 매입해 헐값 매각한 것이 사실인 이상 이런 기부금 운용에 대한 문제 제기를 억울해 하거나 친일세력의 공세로 몰아붙일 수는 없다.

윤 당선인이 해야 할 최선의 일은 기자회견과 같은 공개 해명 자리를 갖는 것이다. 그 자리에서 해명을 뒷받침할 증빙자료와 함께 의혹들을 상세히 해명할 필요가 있다. 일부 매체만 선택적으로 만나 단편적으로 해명함으로써 사태를 무마할 수준은 지났다. 잘못된 의혹 제기는 바로잡고 과오는 인정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윤 당선인이 회피한다면 더불어민주당이 나서야 한다.

30년간 정의연과 윤 당선인은 위안부 피해 실상을 널리 알리고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아 내기 위해 노력해 왔다. 국회에 입성하는 윤 당선인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남긴 앙금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등 무거운 과제를 떠안았다. 하지만 지금 그는 위안부 운동을 국회에서 마무리하기는커녕 운동의 앞날을 막을 판이다. 무분별한 언론의 의혹 제기가 계속되고 정치권이 이를 정쟁으로 이용하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미래는 어둡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사이에서 정의연에 대한 불신이 뿌리내리면 위안부 운동은 존립하기 어려울 것이다. 대일 외교관계에서 정부가 명분을 잃을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소모적 논란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지 않는다면 국가적으로 잃을 것이 너무 많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