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클럽 관련 코로나19 확산이 학생과 학원 강사에게 번지면서 초ㆍ중ㆍ고교 등교 수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14일 황금연휴 동안 이태원 일대를 방문한 교직원과 원어민 교사가 880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만 19세 이상의 성인이지만 아직 고교를 졸업하지 않은 학생들이 유흥시설을 방문한 사실도 드러나고 있다. 지역사회 2,3차 감염이 현실화된 상황을 감안할 때 등교 일정 재검토가 불가피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일단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 결과와 감염증 확산 추이 등을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학부모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면서 등교를 더 미뤄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현실적으로 60만명에 달하는 교직원 전원을 대상으로 한 진단검사가 불가능한데다 자진 신고하지 않은 교직원이나 원어민 교사가 적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등교 개학의 위험 요인이 너무 큰 게 현실이다. 실제 인천의 학원 강사 한 명이 중고교생을 집단 감염시킨 사례에서 보듯 만약 등교 수업 기간이었다면 학교 내 대규모 감염은 피할 수 없었다.
교육 당국은 등교 수업에 매달리지 말고 다양한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난 두 달 넘게 계속 상황에 밀려 개학을 연기하면서 혼란이 되레 더 커졌다. 감염병이 예측 불가능한 탓도 있지만 교육 당국의 결정이 너무 늦다는 지적이 많았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밝혔듯이 대입 일정이 촉박한 고3을 제외한 학년별 격주제와 격일제 등교도 검토할만하다. 상황이 더 악화된다면 온라인 수업을 기본으로 하고 시험이나 비교과 활동, 수행평가 등에 한해 마스크를 쓰고 등교하는 방안도 있다.
등교 개학은 학생들의 안전이 담보된 뒤에 최대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등교 형태나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을 더 넓게 인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당국은 더는 땜질식 대응으로 혼란을 키워선 안 된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안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학사 일정과 평가 방법 등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교육 당국이 중심을 잡지 못하면 학교 현장이 흔들린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