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일부터 코로나19 방역 체계를 ‘생활 속 거리 두기’(생활방역)로 전환하기로 3일 결정했다. 3월 22일부터 지속된 ‘사회적 거리 두기’를 45일만에 종료하고 본격적인 생활방역 실험에 들어가기로 한 것이다.
정부 결정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정부의 방역망 내에서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달 18일부터 10명 안팎을 기록 중인데다 국민 피로도 증가와 경기 침체, 등교 연기로 인한 학생과 학부모 불편 등을 감안한 조치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31개 분야에 걸쳐 국민이 지켜야 할 생활 속 거리 두기 방역지침을 공개하는 등 생활방역 전환을 준비해왔다. 지침은 개인위생부터 회사 업무시, 대중교통ㆍ다중시설 이용시 등을 망라한다. 정부 차원에서 주요 밀집 시설들에 적용했던 행정명령도 권고로 대체된다.
그러나 생활방역 전환을 앞두고 상당 수준으로 이완된 국민의 코로나19 방역 태세는 우려스럽다. 지난달 30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황금 연휴 동안 강원도와 제주도는 마스크를 벗은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주점 클럽 등은 이미 문전성시다. 이처럼 느슨해진 분위기가 2주 뒤 최악의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조마조마하다.
순차 등교 수업에 따른 학교 방역에도 만반의 대비가 필요하다. 수백, 수천 명의 학생들이 밀집해 장시간 생활하는 학교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학교 구성원은 물론 그 가족과 지역으로까지 폭발적인 집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감염은 크게 감소했지만,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해외 유입 요인도 언제 어디서 집단 감염 발발로 이어질 지 알 수 없다. 최근 2주 새 역학조사를 통해서도 감염 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확진자가 10여명에 달하는 점도 방역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세계가 주목하는 방역 모델로 코로나19에 잘 맞서 싸워왔다. 그 최전선엔 방역 당국과 의료진의 헌신이 있었다. 생활방역은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가 아니다. 코로나19와 함께 사는 ‘뉴 노멀’로의 진입이다. 개인의 철저한 생활방역 이행이 뒤따르지 않으면, 그간의 노력이 일순간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