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진단검사, 항체검사, 무증상 감염 원인규명 등
방역당국 앞에 높인 과제 산적
사각지대 방치하면 제 2의 유행 배제 못해
생활 속 거리두기 제도 뒷받침도 시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맞선 그간의 국내 방역은 세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괜찮은 성과를 냈다. 하지만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도 만만찮다. 국내 첫 확진 이후 100일째(28일)를 맞아 방역당국의 과제를 짚어 봤다.
◇선제적 진단검사
27일 0시 기준, 전날 같은 시간 대비 국내 신종 코로나 일일 확진자 수는 10명이다. 지난 18일(18명) 이후 9일째 10명 안팎에 그쳤다. 하지만 외국 사례를 보면 사각지대에 방치되거나 증상이 없어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감염자 규모가 얼마나 될지 장담할 수 없다. 이런 숨은 감염자와 감염이 번지기 유리한 조건이 결합해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언제든 제2, 제3의 유행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한의사협회 등은 전국 요양병원, 요양원 등 취약 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증상 유무에 관계 없이 선제적 진단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간 대구ㆍ경북 지역 위주로 선제적 진단검사를 했던 방역당국도 필요성에 동의하며 최근 범위를 전국으로 넓히기 시작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 본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서울ㆍ경기 지역 중 지역사회 감염이 있었던 시군구 지역을 선택해 그 지역의 요양병원 신규입원 환자 또는 증상이 있었던 환자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속도는 아쉽다는 지적이다. 외국인 노동자 밀집 지역 등 방역이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넓다. 한때 신종 코로나 방역 성공 국가로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다가, 외국인 노동자의 열악한 환경을 방치해 하루 확진자가 1,000명 안팎에 달할 정도로 폭증한 싱가포르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부 안팎에서 나온다.
◇항체검사
확진자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 항체를 보유한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하는 지역사회 항체검사도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항체 보유자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야 무증상 감염 규모와 지역별 감염 확산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 항체가 신종 코로나에 어느 정도 대항력이 있는지도 이런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몇몇 나라는 속속 항체검사 결과를 내놓고 있다. 네덜란드와 독일, 프랑스 등은 표본조사를 실시해 인구의 3~14%가 항체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한국 방역당국도 항체 검사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인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표준 검사법 등 국제 표준도 없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와 관련,“항체검사를 할 때 가장 큰 애로사항은 다른 감염병 또는 일반 감기로 자리잡은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와의 교차 면역에 대한 부분들이 좀 더 명확하게 정리돼야 정확한 항체 양성률을 구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항체와 다른 감염병으로 인한 항체를 가려낼 방법을 먼저 확립해야 항체검사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방역당국은 항체검사를 실시할 표본 후보로 헌혈에서 모인 혈액이나 국민건강영양조사 과정에서 수집된 혈액 등을 고려하고 있다.
◇무증상 감염
신종 코로나에 한번 걸린 뒤 치료를 받고 완치된 사람이 진단검사에서 다시 양성 판정을 받는 재양성자 문제도 풀어야 할 부분이다. 재양성자의 존재는 시민의 불안감을 자극하는 것은 물론 ‘의심 환자 발굴→진단→치료→격리 해제’로 이어지는 현재의 신종 코로나 치료 체계를 뿌리부터 뒤흔들어서다. 이런 재양성자 수는 이날 0시 기준으로 268명에 이른다.
방역당국은 유전자증폭(PRC) 진단검사의 높은 민감도 탓에 죽은 바이러스 조각이 검출돼 재양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죽은 바이러스에 불과하다면 전파력이 없어 걱정할 문제가 아니다. 실제 방역당국이 재양성자 6명에게서 검출한 바이러스를 배양한 결과 바이러스가 자라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다. 후속 연구로 재양성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돼야 하는 이유이다.
◇생활 속 거리두기 정착
이르면 내달 6일부터 지금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다. 정부는 지난 24일 생활 속 거리두기 세부지침을 내놨지만 문제는 잘 지켜질지 여부다. 백신이 없는데 거리두기마저 안 되면 제2, 제3의 유행은 시간 문제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방역당국과 민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시민들의 옅어진 경각심만 탓할 문제가 아니다. 지침은 ‘아프면 집에서 쉬라’지만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다니지 않는 이상 갑자기 휴가를 쓰는 건 눈치가 보이는 일이다. 또 지침은 음식점, 카페 등은 탁자 사이 간격을 1~2m 떨어뜨리거나 테이블 간 칸막이를 두라고 권고하지만, 공간 여유가 없는 영세 사업장에 준수를 강제하기 힘들다. 지침 개발에 그칠 것이 아니라 법 개정과 지원 대책을 통해 권고를 지킬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데 서둘러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는 이유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