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위기’ 에 놓인 광주형 일자리 사업 정상화를 위한 광주시와 노동계의 논의가 본격 시작됐다. 광주형 일자리의 핵심인 ‘노사상생’ 실무를 전담할 재단 설립에 양측이 잠정 합의하면서 조만간 노동계의 복귀도 예상된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은 27일 오후 한국노총 광주본부에서 만나 광주 상생일자리 재단(가칭) 설립 방안을 논의했다. 이 시장과 윤 의장은 30여분간 비공개 대화에서 재단 설립 취지에 공감하고 조직 설립 및 구성과 관련한 개괄적인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장은 면담 후 “광주시가 지역사회에 제안한 상생일자리 재단을 만드는 것은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에서 제안한 내용과 방향성이 부합한다는 것을 의장이 인정했다”며 “한국노총이 지역본부 차원의 의사결정 절차를 거쳐 시에 통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윤 의장은 이 시장의 제안에 대해 “내부 논의 및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한국노총의 최종 입장을 시에 전달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 시장은 이날 윤 의장을 만나기 전에 기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광주 상생일자리 재단 설립 의사를 밝혔다.
상생일자리 재단은 광주시 노동정책 전반의 실효성 확보를 뒷받침하고 노동 관련 단체와 시설 등이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하는 노동 서비스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광주시 산하 문화재단, 복지재단, 여성가족재단 등과 유사한 형태로 일자리와 노동분야 정책을 실무로 이행하는 재단법인이다.
시는 설립에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노동 전문가, 공무원 등이 참여한 광주 상생일자리 재단 설립 추진단을 바로 구성할 예정이다. 추진단장은 비상임 직위로 노동계 추천을 받아 임명하고, 4급(과장급) 사무국장도 공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국노총의 광주형 일자리 사업 복귀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상생형 지역 일자리 첫 번째 모델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달 초 한국노총이 사업의 근간이 되는 노사 상생 발전 협정서 파기와 함께 사업 불참을 선언하면서 좌초의 우려를 낳았다.
김종구 기자 sor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