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투명한 빅데이터 공유 및 활용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그동안 개별 기업 및 기관에 분산되어 있던 분야별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국민 안전과 건강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 및 솔루션 개발에 속도를 붙이는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코로나19 확산을 막아라
먼저,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활용이 단연 눈에 띈다. 지난달 26일,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는 경찰청과 여신금융협회, 통신사, 신용카드사 등 28개 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해 통합 분석하는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도입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시스템 도입을 통해 정보 수집에 소요되었던 시간은 기존 대비 평균 10분의 1 수준으로, 동선 예측 작업은 10분 내외 수준으로 크게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전 국민 빅데이터 역시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검사 결과 확진 판정이 나오면 중증도와 기저질환 등을 확인해 환자를 분류하게 되는데, 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기저질환이 있는 위험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에 속한 환자들에게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의 ‘수진자 조회시스템’을 통해 입국자 정보를 의료기관 및 약국 등과 즉각 공유함으로써, 확진자 확산 저지에도 힘을 보탤 수 있었다.
시민 삶의 질을 높여라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도시 데이터 활용도 기대를 모은다. 서울시는 4월부터 서울 전역에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 주차 등의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공유하는 ‘IoT 도시 데이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자치구, 시 산하 투자·출연기관이 각각 관리하던 도시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게 되면서, 시민 체감도가 높은 먼지·소음 저감 서비스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4월 말부터는 수집한 데이터를 민간에도 개방할 계획이다.
희귀질환 진단과 치료에도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달 12일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추진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희귀질환자를 포함한 총 2만 명 이상의 임상정보와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시범 사업 계획을 밝혔다. 개인 정보를 알 수 없도록 해당 데이터를 비식별화 처리한 뒤,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생명연구자원센터(KOBIC),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선제적인 사이버 위협 대응 체계를 구축하라
정보 보안 업계 역시 보안 위협 정보 공유에 큰 힘을 싣고 있다. 언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들어올지 모르는 고도화된 보안 위협에 맞서, 기업에 해당되는 핵심 정보를 미리 입수하고 필요 시에는 다른 보안 기업·기관과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글루시큐리티, 시큐아이, 윈스 등 국내 주요 보안 기업과 함께 최근 완료한 KOSIGN(Korea Open Security Intelligence Global Networks, 코사인)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그간 여러 보안 장비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이 각각 다른 포맷과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된 까닭에 의미 있는 위협 인텔리전스를 얻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핵심 역할을 맡은 3사는 여러 보안 기업·기관들이 표준화된 위협 정보를 적시에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완성했다.
코사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글루시큐리티 박종성 팀장은 “사이버 위협이 정부나 보안 기업 혼자서 막을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만큼, 조직에 해당되는 ‘믿을 수 있는’ 위협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준화된 위협 정보 분석·공유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보다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위협 첩보를 토대로 고도화된 공격에 대한 대응력을 한 단계 높였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