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변화, 코로나 총선 이후] <3> 중도는 없다, 더 굳어진 진영
민주당 호남, 통합당 영남 싹쓸이… “양당 진영 타파 대혁신 필요”
21대 총선은 한국 사회의 양극화된 정치 지형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지난 총선에서 반짝 완화 조짐을 보였던 지역주의 벽은 다시 높아졌고 계층ㆍ세대별 대립도 뚜렷해졌다. 보수ㆍ진보 이념에 의존한 거대 양당이 지역ㆍ세대ㆍ계층 모든 영역을 양분하는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한 탓이다. 거대 양당이 진영 논리를 탈피하지 않는 한 2022년 대선 국면까지 이념에 기반한 진영 간 충돌은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영ㆍ호남 분화, 2050 대 60대 이상 세대 대결
4ㆍ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전체 300석 중 각 180석과 103석, 총 283석(94.3%)을 나눠 가졌다. 두 당 모두 각자 표밭인 호남ㆍ영남을 싹쓸이한 덕이 크다. 호남은 무소속 1석을 제외하고 민주당에 표를 몰아줬고, 영남은 통합당이 65석 중 56석(86.1%)을 차지했다.
지역뿐 아니라 세대ㆍ계층별로도 진영이 명확히 나뉘었다. 세대별로는 통상 40대 이하 진보와 50대 이상 보수로 진영이 갈렸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특이하게도 6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세대가 진보화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86세대가 포함된 50대가 진보 진영에 포함된 결과로, 선거 직전 한국갤럽이 실시한 조사의 경우 50대 응답자 중 56%가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이 다수 당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진보 진영이 확장된 세대 지형을 ‘뉴노멀’(new normalㆍ새로운 표준)이라고 정의했다.
계층 대결은 서울 지역구에서 뚜렷했다. 민주당이 수도권 전역을 사실상 석권했지만, 부의 상징인 강남 3구는 여전히 난공불락이었다.
“극한 진영 대립은 20대 국회가 낳은 산물”
지역ㆍ세대ㆍ계층이 극한 대립을 보인 총선 결과는 보수와 진보로 갈린 진영 갈등의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파동 당시 ‘태극기 보수’와 ‘조국수호 진보’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우리 사회의 진영 갈등은 더욱 첨예해 졌고, 거대 양당은 갈라진 한반도를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결집을 위한 동력으로 활용했다.
그러면서 진보와 보수의 충돌은 광화문과 서초동의 오프라인뿐 아니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공간으로 확전됐다. 보수 진영은 확인되지도 않은 사실을 유튜브에 유포시키면서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진보 진영은 문재인 정부에 반기를 드는 정치인을 온라인에서 테러에 가까울 정도로 압박했다. 신종 코로나 정국에서도 보수 진영은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온라인 정보에 집중했고, 진보 진영은 대구ㆍ경북(TK) 지역에서 확진자가 폭발하자 ‘새누리당 찍더니 꼴 좋다’는 비하 발언을 쏟아냈다.
민주당이 진영 갈등을 통해 총선을 압승하긴 했지만, 진정한 승리자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역주의 부활은 현 정부와 집권여당이 적과 동지를 구분하는 ‘갈라치기’ 정치를 한 결과”라며 “코로나 사태에서 TK 지역 주민이 느낀 극도의 소외감을 살피지 않으면 아무리 180석의 여당이라 해도 반쪽짜리 정당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선이 ‘진영갈등 정점’ 되지 않으려면
문제는 이대로라면 21대 국회에서도 진영 대립이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총선 직후 “국민들께서 무거운 책임을 주셨다”면 신중한 자세를 취했지만, 열린민주당 최강욱 당선인 등 범여권에서 여전히 진영 대결을 부추기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다.
내년 하반기부터 2022년 대선 국면에 돌입할 것을 감안하면 진영 갈등을 봉합할 시간은 1년 남짓 남았다. 전문가들은 개헌이 이뤄지지 않는 한 근본적인 대책은 없지만, 거대 양당이라도 책임감을 갖고 진영정치 타파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상병 평론가는 “영ㆍ호남 싸움의 정점이자 피날레는 대선”이라며 “근본적 대책은 대통령 중심제를 바꾸는 것이지만, 이대로 치를 수밖에 없다면 민주당은 집권여당으로서 갈등 수습을 위해 대대적인 혁신을 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창선 정치평론가는 “양당제 공고화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두 정당은 다른 대안이 없어 양자택일을 강요 받은 중도 성향의 유권자 층이 여전히 두텁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며 “특히 통합당이 살길은 지역구도를 뛰어넘는 새 판을 만들어 중도층을 흡수하는 것뿐”이라고 꼬집었다.
김정원 기자 gardenk@hankookilbo.com
김영훈 기자 huni@hankookilbo.com
이승엽 기자 syle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