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뒤늦은 확산세 일본, 확진자ㆍ사망자 한국 앞서
알림

뒤늦은 확산세 일본, 확진자ㆍ사망자 한국 앞서

입력
2020.04.19 19:38
0 0

 하루 신규 확진 연일 500명대 증가세 지속 

 “무증상ㆍ경증 감염자에 의한 확산이 문제” 

 의료붕괴 우려에 드라이브 스루 이제야 추인 

 아베, 정치적 판단에 따른 대응도 불신 가중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7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위해 입장하면서 착용하고 있던 면 마스크를 벗고 있다. 도쿄=로이버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7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위해 입장하면서 착용하고 있던 면 마스크를 벗고 있다. 도쿄=로이버 연합뉴스

일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ㆍ사망자 수가 19일을 기해 한국보다 많아졌다. 일본 인구(1억2,647만명)를 감안할 때 직접 비교에는 무리가 있지만 한국이 완연한 진정세인 반면 일본은 확산세가 여전해 양국 간 격차는 당분간 더 벌어질 전망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일본 NHK방송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발표를 종합한 결과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712명)를 포함한 일본의 누적 확진자는 1만1,145명, 사망자는 237명이었다. 한국의 누적 확진자(1만661명) 및 사망자(234명) 수를 넘어선 것이다. 더욱이 한국은 전날 신규 확진자가 한 자릿수까지 떨어지면서 상황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본은 나흘째 500명대를 유지하는 등 증가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일본이 뒤늦게 확산세를 보이는 것은 안일한 초기 대응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일본에선 감염집단을 추적해 경로가 확인된 사람만 검사하는 클러스터 대책을 채택했다. 한국을 비롯해 다수 국가가 공격적인 유전자증폭(PCR) 검사에 따른 감염자 격리에 나섰지만, 일본은 의료붕괴를 우려하며 독자적인 대응을 고수한 것이다. 그러나 2월부터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가 발생했고, 지난 18일엔 도쿄도 신규 환자 중 69%가 이에 해당했다. 아울러 중증환자 등을 치료해야 하는 병원 내 감염이 확산되면서 병상ㆍ의료진 부족에 따른 의료붕괴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유전체 의료분야 권위자인 나카무라 유스케(中村祐輔) 미국 시카고대 명예교수는 도쿄신문에 “(일본은) 검사 대상을 축소해 의료붕괴를 억제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검사를 받지 않은 무증상ㆍ경증 감염자의 행동이 제한되지 않아 감염을 확산시킨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진실을 알려는 노력이 부족하고 과학적 시각에 의한 대책이 너무 늦다”면서 “생명과 관련된 감염증 대책 책임자가 경제재생장관이라는 것도 해외에서 지적하는 바”라고 비판했다.

드라이브 스루 방식 도입은 ‘뒷북 대응’의 대표적 사례다. 야당과 의료현장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후생노동성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등의 이유로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감염자 급증과 보건소의 검사 능력이 한계에 이르자 15일에야 도입을 공식 추인했다. 이러한 다급한 움직임은 폭발적 감염이 발생한 미국과 유럽에서 최근 확산세가 둔화하면서 조심스럽게 봉쇄 완화를 검토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지율 등을 의식해 정치적 판단에 의한 대책을 남발하면서 스스로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16일 긴급사태 선언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수입 감소 가구당 현금 30만엔(약 340만원) 지급 방침을 취소하고 1인당 10만엔(약 113만원) 지급으로 급선회했다. 이를 두고 긴급사태 지역의 전국 확대는 과학적 근거에 따른 판단이 아니라 현금 지급 방침 변경을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는 해석이 많다.

도쿄=김회경 특파원 hermes@hankookilb.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