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대선’ 종로서 이낙연 황교안 누가 웃을까
김부겸 오세훈 등 차기 주자들 총선 성적표 따라 희비

4ㆍ15 총선 결과에 따라 여야의 차기 대권 주자 운명도 엇갈릴 전망이다. 선거 직후 사실상 2022년 대선 레이스에 돌입하는 만큼 이번 총선에서의 명운이 출발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 1번지인 서울 종로에서 붙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황교안 미래통합당 후보가 단연 관심이다. 총선 시작 전부터 이미 두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진보와 보수 진영의 대선주자 중 맨 앞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종로 선거가 ‘미니 대선’이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4선의 정치 경륜에 문재인 정부 1기 국무총리로서의 경험을 앞세운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여권의 차기 유력 대선주자로서 입지를 굳힐 전망이다. 반대로 황 후보가 승리하면 이 후보를 제치고 차기 대권주자 1순위로 급부상할 수 있다. 총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열세는 오히려 ‘역전 드라마’의 각본이 될 수 있다. 종로 선거 결과에 따라 두 후보의 운명이 엇갈린다.
민주당에서 관심이 가는 또 다른 대선주자는 대구 수성갑에 출마한 김부겸 후보다. 김 후보는 이미 총선 출정식을 통해 대선 도전을 공식화했다. 문재인 정부 행정안전부 장관 출신에 험지인 대구ㆍ경북(TK)에서 2번 연속 당선될 경우, 통합의 리더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경기 김포갑을 떠나 경남 양산을에서 재선을 노리는 김두관 후보도 승리할 경우 그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다. 강원지사 출신으로 원주갑에 나선 이광재 후보도 선거 결과에 따라 당내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서울 광진을에 출마한 오세훈 통합당 후보의 당락이 차기 대선주자 구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오 후보는 지난해 당권 도전에서 황 대표에게 밀렸다. 하지만 통합당 험지인 광진을에서 승리할 경우 이를 만회하는 동시에 대선주자로 다시 주가가 올라갈 수 있다. 서울 동작을에 나선 나경원 후보 역시 승리할 경우 여성 의원 중 드문 5선으로 대선주자 반열에 합류할 수 있다. 공천 탈락에 불복해 무소속으로 대구 수성을에 출마한 홍준표 후보의 생환 여부도 보수 진영의 대권 레이스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총선에는 불출마 했지만 선거 지원에 나섰던 인사들도 결과에 따라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제도권 정치’를 떠나겠다고 선언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공식선거운동 기간 사실상 민주당 선거를 이끌었다.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논공행상의 맨 앞에 이름이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통합당에서는 역시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한 유승민 통합당 의원의 역할이 컸다. 승리할 경우 재평가를 받으면서 당내 입지를 넓힐 수 있다. 비례대표 선거에만 후보를 낸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역시 득표율과 의석수에 따라 차기 대선 레이스에서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김현빈 기자 hb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