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일상생활과 방역조치가 조화되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시기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데다가 12일까지 나흘째 하루 신규 확진자가 50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는 등 국내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환자수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백신이나 치료약이 없는 상황에서는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최선이지만 국민들의 피로도나 침체된 경제 상황 등을 감안하면 일정 정도 일상 활동을 허용하면서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는 체제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최근 “부활절과 총선만 잘 넘기면 ‘사회적 거리 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는 등 정부는 금주 중 방역체제 전환에 대한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아프면 3~4일 집에서 쉽니다’ ‘30초 손 씻기, 기침은 팔꿈치’ ‘한 주 한 번 소독 아침저녁 환기’ 등 5가지 생활방역 핵심 수칙을 제시하는 등 구체적 행동 지침도 마련한 상황이다.
정부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이 사회적 거리 두기의 약화가 아니라 사회적 거리 두기의 지속 가능한 형태로의 전환이라고 설명한다. 표현이야 어쨌건 생활방역으로 전환 시 환자 숫자의 증가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2월 초부터 중국체류 외국인 여행객 입국을 차단하는 등 외부 감염원 차단과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방역 모범국 평가를 받았던 싱가포르는 지난달 유치원과 각급학교 개학을 단행했다가 한 유치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2주일 만에 개학 결정을 되돌렸다. 마스크 미착용 시 대중 교통 출근 금지 등 다시 강력한 통제 정책으로 돌아섰다.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면 정부는 이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일반 국민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정부는 어떤 식으로 이를 지원해야 할지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효성이 있도록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 치료제와 백신이 나올 때까지 코로나19와의 장기전은 불가피하다. 국민들은 생활방역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는 마음가짐과 함께 상황이 악화되면 다시 고삐를 죌 수도 있다는 의연함을 가져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