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도, 집단면역도 없는 것은 한국도 마찬가지
강력한 봉쇄에도 미국ㆍ유럽은 확진자ㆍ사망자 속출
“이미 지역사회감염 퍼진 뒤의 조치…한국은 선제적 대응”
그러나 언제든 상황 나빠질 수 있는 위험도 상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협에서 자유롭기 위해선 백신이 개발되거나, 아니면 전국민 60% 이상이 신종 코로나에 걸렸다 회복돼 집단 면역력을 갖추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백신도 집단 면역도 없는 건 한국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 그렇다고 우리 정부가 군ㆍ경을 동원해 외출을 전면 통제하는 몇몇 나라들처럼 고강도 봉쇄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자고 일어나면 확진자 수가 수천~수만명씩 나오는 미국이나 유럽과 달리 한국은 왜 일일 확진자 수가 수십명 수준에 머무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방역 조치에 비교적 일찍 나서 지역사회 감염을 낮은 단계에 묶어둔 것이 차이를 만들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 본부장은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럽은 우리보다 굉장히 강력한 봉쇄정책을 펴고 있지만 그런 봉쇄정책을 시작하는 시기가 조금 늦었다”며 “이미 지역사회에서 감염이 굉장히 많이 전파된 상황이기 때문에 통제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 등은) 봉쇄를 통해서 사람 간의 접촉을 최소화해서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지만 이미 감염된 사람들은 발병할 것이고, 그 중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보다는 조금 더 일찍부터 이런 역학조사와 (확진) 사례에 대한 격리, 접촉자 격리 같은 조치를 취한 게 조금 다른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유럽과 미국은 이미 지역사회 전파가 광범위하게 일어난 뒤여서 강력한 봉쇄정책 이전에 감염된 사람들이 속속 증상을 나타내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시민들이 적극 동참한 것도 정 본부장은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다른 나라가 취한 그런 강력한 봉쇄 정책까지는 펴지 않지만 그래도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해 줬고 강력한 검사와 사례추적, 그리고 격리정책을 통해 어느 정도 통제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는 지금까지의 성과일 뿐 미래를 낙관할 근거는 될 수 없다. 집단 면역도, 백신도 없는 취약성은 여전하기 때문에 언제든 미국이나 유럽처럼 상황이 나빠질 수 있다고 방역당국은 우려한다. 정 본부장은 △경증이나 무증상 단계에서 전염력이 높고 △바이러스 노출시 발병률이 30~40%에 이르고 △고위험군은 사망률이 높은 신종 코로나의 특성을 거론하며 “환자 수가 적어지더라도 그 환자들이 어떤 환경에 노출돼 어떤 집단발병을 일으키느냐에 따라 전파의 규모가 굉장히 급격하게 커질 수 있고, 2ㆍ3차 전파를 통해 대규모 유행으로 급격하게 진행될 수 있는 위험을 항상 내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와 적극적 진단검사, 자가격리 등의 조치가 느슨해지면 유럽이나 미국 사례처럼 언제든 지역사회 대규모 유행과 이에 따른 의료시스템의 붕괴, 그리고 사망자의 증가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은 △이번 주말 외출 자제 △4월 12일 부활절 종교 행사시 감염예방 수칙 준수 △유흥시설 이용 자제 △투표시 대국민 행동수칙 준수 등을 당부했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