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내 가난이, 당신에겐 구경거리인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내 가난이, 당신에겐 구경거리인가

입력
2020.04.10 04:30
19면
0 0
[저작권 한국일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배경이 된 서울 마포구의 ‘돼지쌀슈퍼’ 옆 오르막길. 영화가 아카데미 4관왕을 수상하며 신드롬을 일으키자 지자체들은 나서서 영화의 배경이 된 지역을 관광 코스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저작권 한국일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배경이 된 서울 마포구의 ‘돼지쌀슈퍼’ 옆 오르막길. 영화가 아카데미 4관왕을 수상하며 신드롬을 일으키자 지자체들은 나서서 영화의 배경이 된 지역을 관광 코스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부자들이 가난을 탐내리라고는 꿈에도 생각 못해 본 일이었다. 그들의 빛나는 학력, 경력만 갖고는 성이 안 차, 가난까지 훔쳐다가 그들의 다채로운 삶을 한층 다채롭게 할 에피소드로 삼고 싶어한다는 건 미쳐 몰랐다.”

박완서가 1975년 발표한 소설 ‘도둑맞은 가난’의 그 유명한 대목이다. 가난에 가족을 잃은 주인공은 함께 공장에 다니며 동거하던 남자친구 상훈이 실은 잘 사는 집 도련님이자 대학생이었고, 아버지 명령에 따라 방학 동안 가난 ‘체험’을 하러 온 것을 알게 된다. 상훈은 주인공에게 돈을 건네며 “덕택에 진귀한 경험을 했다”고 말한다.

가난은 누군가에겐 당면한 위기이자 목을 죄어오는 실감이지만, 한 발짝 떨어져 지켜보는 이들에게는 더없이 진귀한 경험이자 드라마틱한 장면이다. ‘쪽방촌 체험’을 진행하고 ‘기생충’이 흥행하자 영화 속 재개발 지역을 관광지로 개발하겠다는 서울시, 선거철만 되면 낙후한 재래시장과 쪽방촌을 배경으로 찍힌 사진을 홍보에 활용하는 정치인. 누군가의 삶을 전시하고 감상하는 ‘가난 포르노’는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늘 반복돼 왔다.

'가난 사파리' 저자 대런 맥가비. 돌베개 제공
'가난 사파리' 저자 대런 맥가비. 돌베개 제공

영국의 래퍼 겸 작가 대런 맥가비는 이 같은 행태를 ‘가난 사파리’라고 부른다. 책 ‘가난 사파리’는 스코틀랜드 빈민지역에서 태어나 하층계급의 삶을 살아온 저자가 기록한 자신의 성장담이자, 가난 문제를 빈곤사업에 종사하는 전문가와 정치인에게만 맡겨두는 현실을 꼬집은 사회비평서다.

책은 2017년 영국 런던 켄징턴 북부에 있는 24층 높이의 임대아파트 그렌펠 타워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참사 이야기로 시작한다. 고층 아파트가 부를 상징하는 한국과 달리, 영국에서 고층 공공주택은 자신만의 주택을 갖기 힘든 빈민층의 집단 거주지다. 타워 주변은 영국에서 경제적으로 하위 10%에 드는 가장 낙후한 지역이었고, 주민 대부분이 저소득층과 이민자들이었다. 79명이 사망하고 74명이 부상당한 이 끔찍한 참사 후 언론은 그렌펠타워와 하층계급 사람들을 집중조명했지만 여론의 관심은 금방 휘발됐다. 맥가비는 “진열창 앞 안전한 거리에서 원주민을 잠시 둘러보는 사파리가 끝나고 나면 모두가 그에 대해 서서 잊어버리고 만다”며 ‘사파리 투어’와 다를 바 없는 사회의 가난 서사를 꼬집는다.

알코올중독자였던 어머니의 지속적인 학대와 방치, 이로 인한 트라우마로 맥가비는 어린 나이부터 알코올과 약물 문제를 겪었으며 노숙인 주거지원을 비롯해 각종 국가지원을 받았다. 때문에 맥가비의 책은 가난을 상투적으로 분석해온 종전의 글쓰기와 다를 수밖에 없다. “나 같은 사람은 책을 쓸 수 없다”는 흔한 편견을 향한 자기고백에서 시작된 글은 소년원, 폭력 가정, 억압적인 학교, 감옥과도 같던 고층 공공주택, 거리에 있는 소년범, 노숙자, 중독자, 학대 생존자들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가난 사파리 

 대런 맥가비 지음ㆍ김영선 옮김 

 돌베개 발행ㆍ354쪽ㆍ1만6,500원 

빈민지역을 둘러싼 여러 모순을 언급하며 맥가비는 정부와 시민단체를 비롯한 사회가 가난한 지역과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소외시키고 고립시켰는지 지적한다. “사생활은 우리 같은 사람들은 손에 넣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사치재가 된다. 존엄성이란, 있는 사람들한테다 해당되는 것이었다.” “정치적 무관심은 흔히 하층계급과 연관되는 특징이지만 우리는 왜 그런지 거의 검토하지 않는다.” “빈곤산업에서는 선량한 사람들도 사회적 박탈로부터 어마어마한 돈을 번다. 가난을 뿌리 뽑는 게 아니라 낙하산으로 와 ‘업적’을 남겨야 성공할 수 있다.” 이런 문장들을 통해 맥가비는 자신이 직접 겪은 생생한 분노를 통렬한 비판으로 승화시킨다.

책이 가난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그 답을 국가나 정치인이 갖고 있지도 않다. 오히려 맥가비는 “가난은 경쟁하는 소수의 정치적 팀 사이에 벌어지는 게임이 됐다”며 “정치 스펙트럼상 어느 쪽인지와 무관하게 온갖 당사자들이 이런 게임을 벌인다”고 가난을 정치공학적으로 이용할 뿐인 좌우파 모두에 이의를 제기한다.

그러나 맥가비의 말처럼 “가난은 게임도 아니고 곧 없어질 것도 아니며 이곳에 계속 머물 터이며 개선되지 않으면 상황은 더 나빠질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이 가난한 세계를 져버릴 수가 없다. 그리고 물론, 그 세계를 바꿀 힘은 다른 누구도 아닌 가난하거나 가난했던 우리 손에 달려 있다. 맥가비가 아마 그 증거일 것이다.

한소범 기자 beo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