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들도 코로나19 폭풍 속으로 빠르게 휘말려 들어가고 있다. 당장 1분기 실적 발표부터 ‘코로나 어닝쇼크’가 우려될 정도다. 2일 경영분석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현재 국내 시총 상위 76개사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19조8,169억원이었다. 하지만 3월 말 현재 17조1,619억원으로, 불과 한 달 새 2조6,550억원(13.4%)이 줄었다. 코로나19 타격은 2분기에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코로나19 타격이 가장 두드러진 것은 항공ᆞ정유업체들이다. 대한항공은 2월 말만 해도 800억원 대의 영업이익이 예상됐으나, 3월 말 전망치에선 400억원 대 적자 전환이 예상됐다.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 영업이익 전망치도 각각 718억원, 657억원 흑자에서 각각 4,404억원, 2,804억원 적자 전환으로 수정됐다. 현대차ᆞ기아차 영업이익 추정치가 각각 20.9%, 15.1% 급락했고,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인 삼성SDS와 LG화학 영업이익 추정치도 각각 24.1%, 18.5% 급락 조정됐다.
제철 같은 전통 주력업종 기업이나, 화장품 쇼핑 같은 중국 관련 소비재 기업도 줄줄이 타격이 깊어지는 양상이다. 문제는 코로나 경제 파급이 1분기 중반 이후부터 본격화했다는 점에서 어닝쇼크는 적어도 2분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그 이후에도 경영난이 지속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현실이다. 시총 상위 76개사면 모두 대기업들이고, 협력 및 하청 관계에 따라 수많은 중소기업과 일자리의 사활을 좌우하는 생산의 주축들이다. 따라서 대기업이라는 이유로 경영 악화를 방치할 게 아니라, 차제에 난국을 돌파할 수 있도록 긴밀한 정책대응이 절실하다.
현재 기업 부문 코로나 대응책은 자금경색을 풀어 줄 금융 지원에 집중돼 있다. 하지만 대기업들은 기업 친화적 정책 전환의 신호나, 불황 극복 및 고용 유지에 실질적 도움이 될 세제 지원 등을 희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가령 3월 주총에서 선임 불발 사태를 촉발, 기업들이 곤욕을 치르게 하고 있는 ‘감사 선임 시 3%룰 적용’ 같은 법령은 보완이 돼야 하고, 가업 상속 지원제도 역시 상징적 차원에서라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나아가 대한상의, 전경련 등이 공통적으로 건의한 법인세ᆞ종소세 납부기한 연장, 법인세 조정,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의 한시 부활 등도 전향적인 검토를 해봐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