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서비스업 타격의 실상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대면서비스업’이 대부분인 골목상권의 매출과 순이익이 반토막 상황에 직면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일 발표한 24개 골목상권 업종 상황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으로 2~3월 골목상권 업종 평균 매출은 전년 대비 42.8%, 순이익은 44.8% 각각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영 부진 업소의 63.4%는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지속 시 폐업이 불가피하다고 답했다.
업종별 상황은 더 심각하다. 의류ᆞ가구ᆞ금은방은 2~3월 매출이 전년 대비 70~85% 격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골목상권 대표업종인 음식점은 65%, 꽃가게ᆞ세탁소ᆞ철물점이 55~62.5%의 매출 급감을 예상했다. 한경연 설문조사 결과는 지난달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 지표 추세와 거의 일치한다. 업종별 생산지표상 대면서비스업에 해당하는 예술ㆍ스포츠ㆍ여가(-27.2%), 숙박업(-32.6%), 음식점 및 주점업(-15.9%) 등에선 한 달 사이 10% 넘게 생산이 급감했다.
대면서비스업과 골목상권의 침체는 불황 속에 최저임금 과속 인상과 주 52시간 시행의 부정적 여파에 코로나19가 덮치면서 증폭됐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복수 응답)들은 경영 악화 원인으로 ‘경기 위축 및 방문객 감소에 따른 판매 부진’(93.3%) 외에, ‘최저임금 등 인건비 상승’(50%) 같은 정책 요인을 꼽았다. 따라서 대면서비스업 및 골목상권 지원은 단순한 재난 구제 차원을 넘어 정책 실패를 보정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코로나19 가계 구제책의 큰 틀을 마련했다. 하지만 골목상권이나 대면서비스업 경영위기에 대해선 소상공인대출이나 특정 업종 한시 조세 감면 등 실효성이 낮은 대책만 ‘찔끔 대책’으로 내고 있다. 모든 골목상권 업종과 자영업을 다 구제하는 건 불가능하고 옳지도 않다. 그래도 옥석을 가려 자생 의지와 비전이 있는 사업자는 최대한 생존을 지원한다는 원칙하에, 금융 및 세제 지원뿐만 아니라, 최저임금 및 주 52시간 등에서도 유연한 입체적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