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권고안 이행 공문 보내고
피시방∙게임방 등도 점검 확대
“재택근무 도입 등 달라지기도”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비롯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집단감염이 어디까지 번질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국 시도 지방자치단체가 일제히 콜센터 긴급 점검과 방역에 들어갔다. 일부 지자체는 콜센터처럼 인원이 밀집한 노래방과 PC방, 클럽 등 위험지대를 집중관리하기로 했다.
11일 경기 부천의 한 콜센터 사무실. 입구에 체온계가 비치돼 있고 곳곳에 손 세정제가 놓여 있다. 이미 구로구 콜센터 소식을 인식한 듯 직원들 대부분은 마스크를 쓰고 전화 상담을 하고 있었다. 이 콜센터는 직원 494명 중 96명을 재택근무 시키는 등 유연근무제도 운영에 들어갔다. 평소 답답한 마스크 착용을 좀처럼 보기 힘들었지만 이번 사태로 달라진 풍경이다.
경기도 특사경 관계자는 “15명의 직원이 도내 8군데를 점검했는데 우려했던 것보다 양호한 수준이었다”면서 “콜센터가 파악되는 대로 지속적인 점검에 나서는 한편 PC방과 게임방 같은 우려시설 점검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좁은 사무실에 다닥다닥 붙어 근무하고 수화기 너머로 업무를 보는 콜센터 특성상 지자체들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밀도가 높은 서울의 경우는 좀 달랐다. 이날 대형 손해보험사 콜센터 현장을 점검한 서울시 관계자는 “구로 사태 덕에 이동간에는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했지만 근무(통화) 중에는 60~70%가량만 착용을 했다”며 “그 중 상담 직원들 사이의 차단 벽이 낮은 곳은 직원들이 사실상 마주보고 근무하는 환경이었다”고 전했다.
또 서울 시내의 한 콜센터 관계자는 “직원들에게 마스크를 지급해야 하지만, 이조차도 쉽지 않다”고 호소했다. 마스크 수급 문제가 콜센터와 같은 밀집 근무지에 타격을 주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직원들의 사무실 분리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콜센터는 오는 13일부터 전체 직원의 30%인 20여명을 다른 사무실로 옮겨 근무토록 할 계획이다. 인천시도 콜센터 전수조사와 근무환경 개선을 추진 중이다. 직원들 간의 물리적 간격을 최대한 넓혀 감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지만, 지자체 외 영세한 업체들은 상황이 여의치 않아 비상이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49곳의 콜센터가 있는 부산은 콜센터에 마스크와 손세정제 공급을 통해 콜센터 운영 기업을을 우선 측면 지원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이날 콜센터 업무공간과 사무실 방역 소독을 강화하고, 직원을 상대로 발열 체크를 한 뒤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즉각 자가격리 하도록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콜센터의 마스크, 손 세정제 부족 호소에 따른 조치”라며 “집단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원 간 접촉을 최소화하고, 시설 방역 소독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도 콜센터의 마스크 수요를 파악해 재난기금으로 마스크를 구매 후 판매하거나 기부 마스크 중 일부를 배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또 영세 콜센터에서 소독제 지급 요청이 올 경우 지원해줄 방침이다.
제주도도 콜센터에 대해 건물소독을 주 1회에 2회, 발열 체크는 하루 2회에서 3회로 늘리도록 지시하고 상담 중에도 마스크를 벗지 말도록 당부했다. 다른 시도들도 발열체크와 출퇴근 시간 및 점심시간 조정, 밀집도 완화를 위한 사무실 좌석 간격 조정 등 정부 가이드 라인에 따른 감염예방 조치를 진행 중이다.
인천= 이환직 기자
부산=목상균 기자
전국종합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