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ㆍ카드사ㆍ통신사 참여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16일 가동
동선 공개 소요시간 줄어들 듯… “감염 조기차단 등 기능 확장 기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만 해도 확진자 발생 후 보통 24시간 뒤면 동선이 공개됐지만 확진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공개까지 일주일 넘게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정보 공개 지체로 방역 공백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확진자 동선 파악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했다. 정부 기관과 위치정보를 가진 기업들이 플랫폼에 모여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해 빠르게 이동경로를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 것이다.
앞으로 시스템이 고도화되고 관련 데이터가 축적될 경우 동선 파악을 넘어 감염병 확산 양상 분석, 조기 차단 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적절한 통제 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초강력 감시사회로 나아가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토교통부, 질병관리본부(질본)와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개발해 16일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확진자 동선 파악에는 질본과 경찰청, 카드사, 통신사가 관여한다. 질본이 확진자 면접으로 1차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경찰청을 통해 통신사와 카드사에 확진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통신사는 기지국 신호 정보, 카드사는 결제내역을 뽑아 경찰청에 보내면 경찰청이 이를 다시 질본에 전달해 대조작업 및 이동경로 파악이 이뤄진다.
문제는 이 모든 과정이 공문서를 통해 진행된다는 점이다. 문서를 일일이 작성하고 발송하는 비효율적인 방식 탓에 확진자가 급증하자 동선 파악 업무는 사실상 마비 상태에 빠졌다.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정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이다. 시스템에 질본이 확진자 정보를 올리고 경찰청이 ‘동의’ 버튼을 누르면 즉각 통신사와 카드사가 위치정보를 입력, 지도에 확진자 경로가 표시되도록 설계됐다.
이번 시스템에 기반이 된 기술은 각기 다른 곳에 있는 데이터를 한곳에 연계ㆍ공유하는 데이터허브 기능이다. 현재 수준은 동선 파악 과정을 자동화한 수준에 그치지만 데이터허브 특성을 활용해 추가 데이터를 접목하면 감염병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예컨대 폐쇄회로(CC)TV가 잡아내는 이미지 정보로 밀접 접촉자, 확산 경로 등을 파악하는 식이다. 실제 KT의 경우 CCTV에 잡힌 얼굴만으로 경로를 추적하거나 움직임을 분석하는 기술 등을 확보하고 있다.
물론 사생활 침해나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우선돼야 한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미지 데이터를 잘 가공하면 마스크를 썼는지, 손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지 등 작은 행동도 인식해낼 수 있기 때문에 감염병 대응에 활용할 수 있다”며 “다만 정보를 암호화해 수집하고 수집 대상, 정보 열람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제도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