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위생 마스크 월 100만장 생산 가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동 중단된 개성공단에서 마스크를 생산하자는 제안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이 같은 제안을 담은 청원이 잇따라 게재되고 있다.
6일 글을 올린 한 청원자는 “개성공단에는 마냥 쉬고 있는 대규모 마스크 생산공장이 있다”며 “이를 활용하면 재난으로 인한 경기 침체도 다소 해소될 것이고, 저렴하고 질 좋은 제품을 국민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 청원은 11일 오전 10시 10분 기준 동의 수 1만 여명을 돌파했다.
또 다른 청원자는 “마스크를 비롯한 방역용품 생산이 가능한 개성공단의 시설을 우선적으로 재개할 수 있도록 UN안보리 제재위원회 등 국제사회에 호소해야 한다”며 “북한과는 개성공단 재개로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는 제안을 해야 한다”고 했다.
개성공단 관련 사업자 측과 정치권도 이런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은 앞서 “개성공단 봉제업체들을 가동하면 국내수요뿐 아니라 세계적 수요까지 감당할 수 있다”며 “국내에는 없는 대규모 생산시설과 대규모 숙련공이 이미 개성공단에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관련 방역물품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고 공개 제안했다.
김 이사장에 따르면 개성공단의 위생마스크 제조사는 1개로 월 100만 장 생산이 가능하다. 면마스크 제조가능 업체는 50여개, 위생방호복 제조가능 업체는 64개에 달한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개성공단의 시범가동이 필요하지만 새로 설비를 맞춰서 생산량을 늘리는 것보다는 기존 설비를 활용해 생산하는 게 더 효과적일 것”이라며 정부에 적극 검토를 요청했다.
그러나 개성공단 재가동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위원회의 대북제재 장벽을 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은 원칙적으로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니지만, 마스크 제작 과정이 제재 흐름에 상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9일 정례브리핑에서 “기본적으로 정부는 남북 간 방역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면서도 “다만 현 단계에서 북측의 지원 요청이 있거나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이소라 기자 wtnsora21@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