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3일(현지 시간) 예정에 없던 긴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하했다. 0.25%씩 조정하던 관행을 깬, 대폭 인하였고 17일로 예정됐던 FOMC 정례회의를 기다리지 않을 만큼 전격적이었다. 0.5%포인트 인하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미 기준금리는 연 1.00~1.25%가 돼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와 비슷한 수준이 됐다.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들은 연준 금리 인하 직전 긴급 콘퍼런스콜을 갖고 “경기 하강을 막기 위해 모든 정책수단을 사용하겠다”는 성명을 냈다. 주요국들이 조만간 기준금리 인하에 동참할 것으로 보이는데, 가장 먼저 호주 중앙은행이 3일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0.5%로 0.25%포인트 내렸다. 연준도 4월 이내에 추가 인하를 할 거라는 전망이 많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시장의 ‘인하’ 전망과 달리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을 두고 “선제 대응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당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최근 수요와 생산 위축은 불안심리 확산 때문이라 금리조정보다는 미시정책이 효과적”이라고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하루 뒤인 28일 미 연준은 금리 인하를 시사했고, 일본ᆞ영국ᆞ유럽중앙은행(ECB) 등도 잇따라 통화정책 대응 의지를 밝혔다.
정부는 4일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코로나19와 경기하강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은도 이날 “여건 변화를 감안하겠다”며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금리 인하’에 대한 직접 언급은 하지 않는 등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한발 늦은 만큼 한은도 시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한시라도 빨리 임시 금통위 회의를 열어 입장을 분명히 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한은과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자칫 대형 위기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망을 촘촘하게 짜야 한다.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한 시기에는 금융기관과 기업의 외화 표시 부채나 과도한 단기 채무 등이 위기 확산의 발화점이 됐다. 이런 부분을 미리 점검하고 위험 요소를 줄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