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대구에서 병원에도 가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지난달 27일에는 확진 판정을 받았으나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남성이, 같은달 28일과 1일에도 자가격리 중이던 여성이 사망했다. 두 사람 모두 고령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안타깝다.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두 사람 모두 입원치료 우선순위에 있었지만 적절한 중증도 분류에 따른 치료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이런 상황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점이다. 1일 대구시에 따르면 확진자 중 입원 대기 중인 사람은 1,600명을 넘는다. 하루 수백 명씩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대구 지역 의료인력 부족은 한계에 이르렀다. 이번 주에만 2,000~3,000명 이상 더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확진자 중 80%가 심각한 증상이나 후유증 없이 지나간다는 점에서 고위험군을 얼마나 신속하게 선별하고 집중치료를 받도록 하느냐가 과제다. 의협이 “확진자를 다 입원시켜야 하는 현재 지침을 무증상자, 경증, 중증, 위중 등으로 나눌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한 점도 그런 까닭이다. 치료 중 사망자가 나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우선순위를 제대로 정하지 못해 중증환자가 치료를 못 받고 사망하는 사태는 반드시 막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이날 경증과 중등도 이상 환자치료를 이원화한 것은 적절하다. 정부는 환자의 중증도를 4단계로 분류하고 경증환자에 대해 입원 대신 공공시설ㆍ생활시설에서 의료관리를 받도록 하고, 중등도 이상의 환자는 신속 입원시키기로 했다. 경증환자라도 자가격리 중 상태가 갑자기 나빠지거나, 2ㆍ3차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기에 환자들이 시설에 머무르며 의료진의 관리를 받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후속 조치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지자체, 의료계의 공조가 빈틈 없이 이뤄져야 한다. 전염병과의 싸움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해외에서는 코로나19를 치료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고 몇 주 내 결과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 때까지 정부의 피해 최소화 전략은 차질을 빚어서는 안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