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4당 대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초당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8일 국회에서 회동한다. 문 대통령이 여야 대표들과의 회동을 위해 국회를 찾는 것은 취임 후 처음이다. 대통령이 미증유의 위기 앞에서 국론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고 입법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구하기 위해 먼저 자세를 낮춘 것은 평가할 만하다. 늦은 감은 있지만 국회도 26일 본회의를 열어 ‘코로나 대응 3법’을 통과시키는 등 협치에 시동을 걸었다.
회동에선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과 장기화를 막고, 직격탄을 맞은 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을 돕는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하지만 걱정스러운 건 야당이 코로나19 늑장 대응 비판의 소재로 활용 중인 중국인 입국금지 등이 테이블에 올라 회동이 정쟁으로 흐르는 것이다. 우려가 현실이 되지 않으려면 문 대통령은 정부 입장을 충분히 설명해 이해를 구하는 동시에, 정치권 ‘레드팀’의 고언을 듣는다는 자세로 야당의 주장을 경청해야 한다. 또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맞춰 정부 정책의 신발 끈을 다시 조여매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최근 정치권 행태는 정반대다. 야당 원내대표의 코로나 감염 여부 검사를 놓고 ‘무책임하게 확진자를 불러와 국회 폐쇄를 초래했다’는 식으로 비판한 여당 대변인과 최고위원의 인식은 적대적이다 못해 최소한의 예의도 찾아보기 힘들다. 야당은 “대구ㆍ경북 최대 봉쇄”라는 표현을 썼던 여당 수석대변인의 말 실수를 걸어 ‘중국은 안 막고, 대구만 막나’라는 식으로 정치 공세를 펴고 있다. 이미 문 대통령이 직접 나서 진의와 다르다며 두 차례나 정정했고 해당 대변인은 사의를 표명했다.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일으키는 발언은 삼가야 한다.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국민은 상생과 공존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의료 공백을 메우러 의료진이 대구ㆍ경북으로 달려가고 있고, 건물주는 자영업자의 고통 분담을 위해 임대료 깎아 주기에 나서고 있다. 정치권도 ‘코로나 협치’로 화답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국가 지도자들이 위기 앞에서 한심한 말싸움이나 하고 헤어질 경우 정치에 대한 혐오는 극에 달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