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김경집의 통찰력 강의] 봉준호와 샌더스

입력
2020.02.24 18:00
수정
2020.02.24 18:07
29면
0 0
봉준호 감독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연합뉴스
봉준호 감독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연합뉴스

그 순간, 숨이 멎는 줄 알았다. 아무리 ‘지역(local)의 영화제’라지만 아카데미 시상식을 단순하게 미국의 영화제라고만 일축할 사람은 없다. 이미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을 수상했고 감독상까지 따냈으니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지만 역시 최고는 최우수작품상이다. 그 상을 타면 좋겠지만 과연 가능할까? 경쟁작들도 뛰어난 데다 ‘미국의 영화제’가 아닌가. 그런데 모든 상 중의 상이라는 최우수작품상을 ‘기생충’이 받았다. 살아 있는 전설적 여배우 제인 폰다가 ‘패러사이트!’라고 호명했을 때 심장이 터질 것만 같았다.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것도 대단한데 비(非) 미국 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다니!

봉준호 감독의 감독상 수상 연설도 멋졌다. “영화 공부할 때 늘 가슴에 새긴 말이 있다. 가장 개인적인 것은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이 말은 바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이 한 말이다”라며 이날 자리에 참석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에게 존경을 표했다. 마틴 감독은 봉 감독의 언급에 감격했고 모든 참석자들은 모두 일어나 두 감독에게 박수로 화답했다. 아카데미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 영화가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건 분명 경이로운 사건이다. 아카데미가 변화의 시대적 요구에 호응하기에 최적의 작품이었다는 평가도 따랐다. 그런 점에서 아카데미는 봉준호와 ‘기생충’에 감사해야 한다는 말도 호들갑은 아니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알짜배기(?) 상을 휩쓴 봉준호의 영화에 대한민국이 흥분했고 행복했다.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그 감동을 깨뜨리는 ‘숟가락 얹기 신공의 대가’들이 나타났다. 그가 출생한 대구와 경북 지역의 국회의원들이 경쟁하듯 봉 감독의 동상을 세운다느니, 생가를 복원한다느니 따위의 촌스럽고 뜬금없는 돌출적 언행에 눈살을 찌푸렸다. 그들이 집권했을 때 봉준호 감독은 대표적인 ‘블랙리스트’의 인물이었다. 그 반문명적 야만 행위에 대해 사죄하는 한마디도 없이 자기 지역구 출신의 인물이라고 치켜세우는 게 득표에 유리하다고만 여겼을 계산만 앞섰을 것이다. 기생충 같은 자들이다. 이 영화를 제작했고 최우수작품상 시상식 때 무대에 올랐던 이미경 전 CJ부회장에 대해서는 아예 노골적으로 이름을 콕 찍어서 아예 회사에서 손 떼도록 했던 게 누구였는가? 자기네 심기 불편하게 하는 영화 ‘변호인’을 제작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기업인을 특정해서 ‘추방’했던 자들 아닌가. 정상적인 사람들이라면 낯 뜨거워서, 부끄러워서 쥐구멍을 찾았을 텐데 참 낯 두꺼운 자들이다.

봉 감독은 귀국 후 간담회에서 상업 영화와 독립 영화로 양극화되고 있는 충무로 상황과 이로 인해 젊은 신인 감독에게 충분한 기회가 열리지 않는 점을 안타까워하면서 “모험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모험은 기존의 체제나 질서에 안주하거나 순응하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고 과감하게 삶을 던지는 일이다. 표현의 제한이나 생각의 자유에 대한 억압 등에 굴하지 않고 오히려 맞서 싸우며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봉테일’이라는 평가도 자신의 작품 세계에 대한 치열한 도전과 공부의 결실이다. 야만적이고 폭력적인 블랙리스트 때문에 시달리고 불이익을 당했어도 그들과 타협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와 신념으로 굳건한 자기 작품 세계를 구축했기에 그의 성공이 가능했다. 그의 도전과 모험이 계속되면서 우리의 문화도 한층 더 발전할 것이다.

멈추지 않고 굴하지 않으며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실천하고 살아간다는 건 남 보기엔 멋질지 모르지만 정작 그 삶을 꾸려간다는 건 어렵다. 미국의 대통령 선거전에 뛰어든 버니 샌더스는 우리 나이로 여든이다. 그는 자신을 유일하게 민주사회주의자라고 칭하는 연방 상원의원이기도 하다. 미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무소속으로 연방 의원을 지낸 정치인이기도 하다. 그는 지난 40년 동안 수천 조의 돈이 중산층에서 상위 0.1%로 이동한 것을 비판하며 경제적 불균형을 깨뜨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월스트리트의 은행들을 무너뜨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들이 파산하기에 너무 크다면 그들은 존재하기에도 너무 큰 것이다”라며, 자신을 급진 좌파라고 비판하고 불안해하는 사람들과 타협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고수한다. 나이는 가장 많지만 생각은 가장 젊고 진보적인 정치인인 셈이다. 그는 끝까지 반대했던 트럼프가 당선되었을 때 국민에 도움 주는 정책을 펼치면 협조하겠다는 유연성을 보였지만 트럼프가 최저임금 인상, 반 월가 정책 등의 친 서민 공약을 고기 뒤집듯 엎어버리자 병적인 거짓말쟁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의 정치적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아직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끝내 포기하지 않는 그의 신념과 이상은 신선하고 싱싱하다. 그의 삶 자체가 하나의 모험이다. 우리에게 그런 정치인이 있는가?

봉준호 감독도 버니 샌더스도 모험을 회피하지 않으며 자신의 꿈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상을 받건 대통령이 되건 그게 중요한 게 아니다. 굴복하지 않는 힘, 그게 매력이고 감동이다.

김경집 인문학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