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환자 발생 한 달을 앞둔 가운데 그간의 정부 방역대책은 비교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29명의 확진자 중 9명이 퇴원하는 등 환자관리가 잘 이뤄졌으며, 중국 우한 교민들의 귀국 및 격리조치도 격리 후보지 선정 초기의 잡음을 제외하면 차질 없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방역조치도 잘 이뤄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 확산세가 다소 수그러들면서 얼어붙었던 사회 분위기도 점차 활력을 찾아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특히 16일 확진판정된 29번 환자의 감염경로가 역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으면서 복병으로 등장했다. 이 환자는 기존 환자들과 달리 지난해 12월 이후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이 없으며 확진자들과의 접촉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의 감시체계 밖에서 발생한 첫 환자로 판명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될 경우 기존 확진자와의 접촉을 통제하거나 격리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한 기존 방역정책은 크게 손볼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에 따라 국내 병원에 입원 중인 폐렴환자에 대해 신종 코로나 검사 시행을 검토하는 등 포괄적 방역망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지역사회 감염을 상정한 대책 마련에 빈틈을 보여서는 안될 것이다.
일본의 상황도 심상치 않다.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확진자가 350명을 넘었을 뿐 아니라,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일본 전역에서 감염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환자가 20명에 달한다. 일본 정부도 “감염확대를 전제로 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시인한 상황이다. 정부는 “일본의 감염 지역이 제한적이어서 아직 ‘오염 지역’ 지정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크루즈선에 있는 한국인들에 대한 이송 등 일본과의 긴밀한 협의가 시급하다.
중국의 춘제 기간이 끝나면서 입국 러시가 예상되는 중국 유학생들에 대한 대책도 보완해야 한다. 정부는 16일 “중국 유학생들에게 1학기 휴학을 권고한다”고 밝혔지만 이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일부 수도권 대학들은 입국하는 중국 유학생들을 격리할 기숙사 등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격리 공간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개강을 앞두고 국내 학생들과의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교육부가 지자체에 중국 유학생들을 위한 보호시설 확보를 요청한 만큼 지자체 역시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