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통합의 기치를 내건 미래통합당이 오늘 공식 출범한다. 16일 ‘옛 안철수계’ 김영환 전 의원과 김원성 전진당 최고위원이 미래통합당 최고위원에 합류해 지도부를 구성함으로써 통합의 마지막 단계를 마무리했다. 미래통합당은 자유한국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이 합쳐져 115석의 제1야당이 된다. 외연을 확장한 보수 정당이 4ㆍ15 총선에서 유리한 출발선에 섰다고 자평할지 모르나, 한계가 명확하다. 유권자들에게 호소할 가치나 비전은 빠진 채,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이합집산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보수 정당의 통합과정은, 애초에 분열의 원인이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 차를 논의하면서 보수의 새로운 지향점을 모색할 기회가 되어야 했다. 유승민 새보수당 의원이 내건 보수재건 3원칙이 수용되었다고는 하나 탄핵의 강을 건너고 개혁보수를 지향한다는 원칙은 사실상 깊은 논의 없이 봉합됐다. 새로운 지도부와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통해 인적 쇄신을 추구할 수도 있었지만 이 역시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사실상 한국당 중심의 흡수통합 형태로 정리됐다. 지난해 11월 보수 통합 논의가 시작됐을 때부터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통합이 정의고 분열은 불의”라고 밀어붙인 결과가 보수 정당의 변신이나 개혁이 아닌, ‘반문 연대’만을 향한 정당으로 귀결된 셈이다.
선거의 구도와 단일화 여부가 승부를 가르는 결정적인 변수인 것이 사실이다. 통합으로 세를 불리고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한 위성정당까지 마련했으니 보수진영이 총선에 제대로 대비했다고 할 만하다. 하지만 유권자들이 기계적으로 후보자 기호에 따라 표를 찍던 시대는 지났다. 3년 전 보수와 중도층을 포함한 절대 다수의 국민은 탄핵에 찬성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했던 유권자 상당수가 현 정부와 여당에 실망하고 있다고 해서 그들이 ‘도로 새누리당’에 표를 던질 것이라는 기대는 오판이다. 유권자들은 보수라는 단어가 몰상식이나 고집불통을 뜻하지 않는 정치를, 지역주의에 호소하기보다는 자유와 시장 질서를 중시하는 보수의 가치를 보여 주는 정당을 고대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