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가짜뉴스는 도대체 언제, 어떻게, 왜 시작 되었나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가짜뉴스는 도대체 언제, 어떻게, 왜 시작 되었나

입력
2020.02.14 04:30
22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가짜뉴스 유행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고대 로마의 옥타비아누스는 경쟁자인 안토니우스를 모함하기 위해 그가 클레오파트라에 빠져 로마를 배신할 거라는 소문을 퍼뜨렸다. 요즘 말로 가짜뉴스였던 셈이다. 미국 독립전쟁을 이끈 벤저민 프랭클린은 영국 왕 조지 3세가 살가죽을 벗기는 인디언과 결탁했다는 허위 기사를,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시인ㆍ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 역시 열기구를 타고 3일 만에 대서양을 건넌 남자들을 인터뷰했다는 날조 기사를 신문에 실었다.

저자가 보기에 가짜뉴스는 인류 역사와 함께 한 정보 생태계의 구성원인 만큼 호들갑을 떨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가짜뉴스 유통 근절은 앞으로도 어렵다. ‘가성비’가 탁월해서다. 진짜 뉴스에 비해 생산ㆍ배포 비용이 턱없이 저렴한데도 성공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막대하다.

여건은 갈수록 좋아진다. 일단 커지는 수요다. “무한대의 소음과 무질서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성향과 믿음에 가까운 정보만 찾는 경향을 보인다”는 게 저자의 분석이다. 확산 조건도 유리해진다. “날조된 정보의 파편은 포털의 댓글과 소셜 미디어, 블로그, 메신저 등을 순식간에 넘나들면서 대중의 관심을 낚아채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를 살펴봐도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린 건 인쇄술 발달이나 라디오의 등장처럼 매체사에 획기적인 발명이 이뤄졌을 때였다.


 가짜뉴스의 고고학 

 최은창 지음 

 동아시아 발행ㆍ508쪽ㆍ2만2,000원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같은 소셜 미디어들이 가짜뉴스의 온상 역할을 하는 게 이런 역사의 연장이다. “진정한 해결책은 개인 발언자를 추적하는 방식이 아니라 허위정보가 전달되고 증폭되기 위한 필요불가결한 수단이 되는 플랫폼의 역할에서 찾는 편이 현명할 것”이라고 저자가 조언하는 건 이런 인식에서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